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빅데이터로 위기 소상공인 1000명 찾아 돕는다

전문가 컨설팅, 개선 비용 지원

생애주기별 지원도 지속 추진





서울시가 매출·신용·부채 등 다양한 빅데이터를 활용해 위기 징후가 보이는 소상공인 1000명을 찾아 맞춤형 지원을 제공한다고 2일 밝혔다.



발굴된 소상공인에게는 상품 관리·마케팅·고객 관리·세무·노무 분야 전문가의 컨설팅을 최대 4회 지원하고 개선에 필요한 비용을 업체당 최대 300만 원씩 지급한다. 기존 보증부 대출금리가 부담되거나 대출상환 기간의 연장을 원하는 소상공인에게는 연 3.7% 고정금리로 상환 기간을 5년 연장하고 보증료 전액을 지원한다.

관련기사



폐업을 고민하는 소상공인 2000명에게는 사업 재기와 안전한 폐업을 돕는다. 최대한 폐업을 막되 한계에 직면해 어쩔 수 없이 폐업을 결정했다면 폐업 신고·세무·채무 관리 등 폐업에 필요한 행정 절차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점포 원상 복구비, 임대료, 사업장 양도 수수료와 같은 폐업 소요 비용은 최대 300만 원을 지급한다.

폐업 후 재창업한 소상공인에 대해서는 재기 의지와 사업 계획을 평가해 200명을 선발한 뒤 상가임대차보호법·근로기준법 등 사업 운영에 필요한 기초법률 교육과 재창업·경영개선 등을 위한 컨설팅을 제공한다. 재기의 발판이 될 사업 초기자금은 최대 200만 원까지 지급하고 저금리 신용보증 대출 등도 지원한다.

한편 서울시는 기존에 추진 중인 진입기(초기 창업)~성장기(경영 개선)~재도전기(사업 정리)에 이르는 생애주기별 지원도 올해 차질 없이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생애주기별 지원은 예비 창업자에게는 컨설팅과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준비된 창업으로 실패 가능성을 줄이고 위기 극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소상공인에는 경쟁력을 키울 경영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박재용 서울시 노동·공정·상생정책관은 "불가피하게 폐업하는 경우에도 충격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퇴로를 확보해 이른 시일 내 재기하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