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가가 꿈틀대던 2021년 7월 의회에 출석한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이라고 진단했다. 이는 연준의 대표적인 물가 오판 사례로 남았다.
# 2023년 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기자회견. 파월 의장은 “이제 우리는 디스인플레이션(인플레이션 둔화) 추세에 접어들었다고 말할 수 있다”고 했다. 이번 긴축 주기에서 물가 둔화가 시작됐다는 첫 선언이었다.
과연 파월 의장이 이번에는 정확한 진단을 내렸을까, 아니면 ‘일시적’이라는 표현과 함께 ‘디스인플레이션’은 연준의 오판을 상징하는 또 다른 사례로 기록될까.
지난해 4분기 물가 둔화에도 불구하고 올해 들어 물가 불안이 다시 커지고 있다는 문제 제기가 월가와 학계에서 잇따르고 있다. 고용 시장 호조와 상품 가격 상승, 소매판매 증가 등 인플레이션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13일(현지 시간) 모하메드 엘에리언 퀸즈칼리지 총장은 “현재 인플레이션에 대한 불확실성은 생각보다 더 크며 디스인플레이션은 생각보다 훨씬 더 복잡하다”며 “연준의 통화정책에 대한 불확실성도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래리 서머스 전 미국 재무부 장관은 전날 언론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이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은 지나친 자기 확신”이라며 “물가는 2년 전에 상상할 수 없는 수준인 데다 실제로 완전히 하락세에 접어들지도, 통제 가능하지도 않다”며 낙관론을 꼬집었다.
물가에 대한 이 같은 우려는 무엇보다 인력 부족이 해소될 기미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인력 부족은 임금 상승을 유발해 물가를 밀어올리는 요인이다. 1월 고용보고서에서 비농업 분야 신규 고용은 51만 7000개 늘었다. 시장 전망치(18만 7000개)를 세 배 가까이 웃돈다. 실업률은 3.4%로 1969년 이후 가장 낮았다. 집쿠르터의 수석이코노미스트 줄리아 폴락은 “이 정도 고용 수치는 사실이라고 믿기에는 지나치게 높다”며 “인플레이션 하락은 경제적 허구”라고 말했다.
하락했던 상품 물가가 다시 오를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11월까지 6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던 맨하임중고차지수는 12월 상승 전환에 이어 1월에도 2.5% 올랐다. 인프라스트럭처캐피털의 최고경영자(CEO)인 제이 해트필드는 “최근 인플레이션 둔화를 이끌던 항목은 중고차였지만 이제 가격 하락은 끝났다”고 말했다.
물류비도 오르고 있다. 웨어하우스쿼트에 따르면 1월 미국 물품보관비는 전월 대비 1.4%, 전년 대비 10.6% 상승했다. 이용자는 많지만 창고 공급이 넉넉하지 않아서다. ITS로지스틱스의 폴 브래셔 부사장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 창고 비용 외 연체료·수수료 등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며 “이는 소비자에게 전가되기 때문에 상품 가격이 예상만큼 떨어지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와중에 소비자 수요는 다시 늘어날 조짐이 보인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15일 발표 예정인 1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2.0%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1월 이후 가장 큰 월간 상승 폭이다. 소매판매는 지난해 11월과 12월 쇼핑 시즌 당시 마이너스를 기록해 인플레이션 둔화에 기여했다. CNBC는 “기업 콘퍼런스콜을 분석한 결과 최근 몇 주 동안 소비자 지출이 급증했다는 기업들의 의견이 잇따랐다”며 “소비 회복이 이번 실적 시즌의 두드러진 메시지”라고 보도했다.
이에 미국 산업계에서도 디스인플레이션을 체감한다는 목소리는 소수에 그치고 있다. CNBC가 미국 2371개의 중소기업 대표를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응답자의 74%가 인플레이션이 계속 오를 것이라고 답했다.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지났다는 응답은 23%에 그쳤다.
채권시장도 인플레이션 상승을 전제하는 분위기다. 이날 미 국채 시장에서 10년물 수익률은 3.7%로 거래돼 전날보다 0.94%포인트 하락한 반면 정책금리에 민감한 2년물 수익률은 0.01% 오른 4.521%에 거래됐다. 인플레이션 때문에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반영됐다. 모트캐피털매니지먼트의 설립자인 마이클 크레이머는 “증시는 물가를 우려하지 않는 듯하지만 옵션·채권 시장은 이미 인플레이션이 높을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