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포스코홀딩스 포항 이전 '지연'…20일 이사회서 재논의

주소만 옮긴다는 포스코 방침에

지역사회 "인력·조직 내려와야"

입장차 커 이사회 결론에 관심

포스코홀딩스 포항 이전 범시민 대책위원회가 14일 서울 포스코센터 앞에서 집회를 열고 있다. 사진 제공=범대위포스코홀딩스 포항 이전 범시민 대책위원회가 14일 서울 포스코센터 앞에서 집회를 열고 있다. 사진 제공=범대위




포스코그룹의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의 본점 이전을 둘러싸고 회사와 경북 포항 지역 사회의 갈등이 재점화하고 있다. 주소지만 포항으로 옮기겠다는 회사 측과 인력과 조직을 함께 이전해야 한다는 포항 시민들의 주장이 맞서면서 해법을 찾지 못하는 모습이다.



포스코홀딩스는 16일 오후 이사회를 열어 본점 주소지를 서울에서 포항으로 이전하는 안건을 논의했으나 결론을 내지 못했다. 포스코홀딩스는 "이날 이사회에서 지주사 주소지 이전 건에 대해 장시간의 토론에도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했다”며 “20일 이사회를 속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포스코그룹은 지난해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포스코홀딩스의 주소지를 서울로 결정했다. 하지만 이후 포항 지역 시민 등이 ‘포스코 지주사 본사·미래기술연구원 포항 이전 범시민대책위원회(범대위)’를 꾸리고 반발했고 포스코그룹은 이사회와 주주 설득을 거쳐 포스코홀딩스의 주소지를 2023년 3월까지 포항으로 이전하는 것으로 합의했다.

문제는 ‘포항 이전’ 내용을 놓고 그룹과 범대위 측의 입장 차가 크다는 점이다. 포스코홀딩스는 당초 범대위의 요구 사항이 ‘본사 주소지 이전’이었고 회사는 이를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반면 범대위는 주소지 이전만으로는 지역사회에 아무런 경제 효과가 없다고 맞서고 있다. 인력과 조직도 포항에 내려와야 한다는 것이다. 포항 시민 1000여 명으로 구성된 범대위 시위대는 14일 상경해 용산 대통령실과 수서경찰서·포스코센터 등에서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포스코홀딩스가 이날 이사회에서 결론을 내지 못한 것은 범대위 측의 거센 반발을 의식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양측의 입장이 팽팽히 맞서면서 20일 열리는 이사회 결론에 관심이 쏠린다. 포스코홀딩스 관계자는 “본점에 근무하는 200명의 인력은 경영 전략, 금융, 법무, 글로벌 협력 등 지주사 업무를 위한 최소한의 규모”라면서 “이사회에서 지역 사회의 요구를 포함해 충분히 논의한 후 주소지 이전 안건을 통과시킨다는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