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복지 사각지대 줄여라…'경남형 통합돌봄 사업' 시행

주거, 보건의료, 요양, 일상생활 지원까지 ‘지역특화형’ 통합돌봄 추진

사천, 김해, 의령, 함안, 창녕, 하동, 거창 7개 시군 선정…15억 원 투입

통합돌봄 모델 발굴…2026년까지 전 시군으로 확산

경남도청.경남도청.




경남도가 차별화된 노후 돌봄 서비스를 선보이고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행정력을 집중한다.

경상남도는 거주하는 곳에서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경남형 통합돌봄 사업’에 7개 시군을 선정했다고 26일 밝혔다. 경남형 통합돌봄은 돌봄이 필요한 독거노인, 장애인, 정신질환자 등이 사는 곳에서 본인에게 필요한 주거, 보건의료, 요양, 일상 생활까지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도는 전 시군을 대상으로 공모 신청을 받아 전문가 5명으로 구성된 심의위원회에서 사천, 김해, 의령 등 7개 시군을 선정하고, 5억 원의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김해시, 거창군, 창녕군은 지역 맞춤형 특화 사업을 제안해 이번 공모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관련기사



우선 김해시는 전 지역을 대상으로 통합돌봄을 시행한다. 입주 자격 기준을 충족하면 저렴한 비용으로 입주할 수 있는 케어안심주택 ‘가야이음채’ 사업과 마산의료원 등 23개 공공 의료기관과 협약을 통해 퇴원 환자의 안전한 가정 복귀를 지원하는 공공 의료기관 퇴원 환자 연계 플랫폼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노인복지과 내 돌봄팀 5명이 전담 직원으로 근무하고 사업 추진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을 예정이다.

거창군은 5개 면을 2개 권역으로 나누어 통합돌봄을 추진한다. 2025년까지 모든 군 지역을 대상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주민이 주민을 돕는 지역공동체 활성화 사업’과 지역자원 활용 및 나눔 사업인 ‘거창한 공유 냉장고’사업 등이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창녕군은 무연고 돌봄 대상자가 사망한 경우 유품 정리를 하는 ‘마지막 복지 배웅 서비스’를 특화 사업으로 추진한다.

경남형 통합돌봄 시범 사업은 다양한 부처와 기관에서 ‘사업’ 중심으로 지원하고 있는 돌봄을 ‘사람’ 중심의 사업으로 초점을 맞추는 것이 핵심이다. 지역 특성을 반영한 지역 맞춤형 돌봄 제공과 중복 수혜와 복지 쏠림 방지 등도 면밀하게 검토해 진행할 계획이다.

이도완 경남도 복지복건국장은 “경남형 통합돌봄 시행으로 도민들이 평소 살던 곳에서 가족 및 이웃과 함께 어울려 지내는 평범한 삶을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구도 소외받지 않고 함께 살아갈 수 있는 따뜻한 복지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창원=황상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