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수도권 건설업체 협박해 억대 금품 뜯은 노조간부 15명

경찰, 공동공갈 혐의 2명 구속, 13명 불구속 입건

건설현장 집회 공사 방해 및 업체관계자 협박

사진제공=인천경찰청.사진제공=인천경찰청.






서울과 인천 등 수도권 일대 공사장 30여 곳을 돌며 건설업체를 협박해 억대 금품을 뜯은 노조 간부 15명이 경찰에 붙잡혔다.

인천경찰청 강력범죄수사1계는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상 공동공갈 등 혐의로 건설 분야 모 노조 부위원장 A(45)씨 등 간부 2명을 구속하고, 지부장 B(39)씨 등 또 다른 간부 13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28일 밝혔다.

A씨 등은 2021년 3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서울과 인천 등 수도권 일대 아파트 공사장 29곳에서 건설업체를 협박해 전임비나 노조발전기금 명목으로 1억8000만 원을 갈취한 혐의를 받는다.

이들은 건설업체에 노조원 채용을 요구한 뒤 이를 거부하면 허위 집회신고로 압박했다. 건설 현장 입구에서 실제 집회를 열어 공사를 방해하기도 했다.



이들은 부동산 중개 애플리케이션으로 건설 현장을 물색한 뒤 '2인 1조'로 안전모 미착용이나 배수로 불량 등 사소한 약점을 잡아 업체 관계자들을 협박했다.

관련기사



이 노조는 3년 전 서울시 은평구 일대에 사무실을 열고 서울·인천·경기 등 5개 지부를 뒀으며 A씨 등 간부들은 위원장·부위원장·총괄 본부장·지부장 등 직책을 나눠 가졌다.

그러나 서울 사무실 외 5개 지부 사무실은 서류에만 형식상 주소가 기록돼 있을 뿐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았다.

간부를 제외한 조합원 115명 가운데 대부분은 노조 활동을 한 적이 전혀 없는 외국인이나 일용직 노동자들로 파악됐다.

경찰은 A씨 등이 활동한 건설 분야 노조가 민주노총이나 한국노총 등 양대 노총 소속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적발된 노조 간부 15명 중에는 경찰 수사를 받던 지난해 12월 지병으로 숨진 위원장도 포함됐다. 경찰은 사망한 위원장을 '공소권 없음'으로 조만간 검찰에 송치할 예정이다.

불기소 처분의 일종인 공소권 없음은 피의자가 사망해 기소할 수 없는 상황 등 수사 실익이 없다고 판단될 때 내려진다.

박우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