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이란-사우디 7년 만에 관계 정상화 합의…베이징서 타결

2개월내 대사관 열기로…중국 외교적 승리 평가도

미국 "이란, 의무 이행할지 두고볼 일"

10일(현지시간) 베이징에서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외교관계 정상화에 합의이후 무사드 빈 모함메드 알-아이반(왼쪽부터) 사우디 국가안보보좌관, 왕이 중국 국무위원, 알리 샴카니 이란 최고국가안보위원회 위원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신화통신10일(현지시간) 베이징에서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외교관계 정상화에 합의이후 무사드 빈 모함메드 알-아이반(왼쪽부터) 사우디 국가안보보좌관, 왕이 중국 국무위원, 알리 샴카니 이란 최고국가안보위원회 위원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신화통신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가 상호 대사관을 다시 열기로 하는 등 관계 정상화에 합의했다. 2016년 사우디가 이란의 반대에도 시아파 유력 성직자에 대한 사형 집행을 계기로 외교 관계가 단절된 지 7년 만이다. 특히 이번 관계 정상화 합의가 중국 베이징에서 이뤄지면서 중국의 대(對)중동 영향력이 더욱 강해졌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에 미국은 중국이 보여준 역할에 대해 평가절하하고 나서며 합의 유지 가능성에도 의문을 제기했다.

10일(현지시간) 로이터,AP등 외신에 따르면 이란 국영 뉴스통신 IRNA는 양국 공동성명을 인용해 “양국이 외교 관계를 복원하고 2개월 안에 상대국에 대사관을 다시 열기로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사우디 국영 뉴스통신 SPA도 공동성명 내용을 그대로 알렸다.

양국은 상호 주권 존중과 내정 불간섭 원칙을 강조하면서 2001년 체결된 안보협력협정과 그 밖의 무역, 경제, 투자에 관한 합의도 활성화하기로 했다.



이날 양국의 관계 정상화 합의는 시진핑 국가주석의 3연임이 확정된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가 열린 중국 베이징에서 이뤄졌다.

관련기사



IRNA는 “알리 샴카니 이란 최고국가안보회의(NSC) 의장이 중국에 있는 사우디 측 카운터파트와 집중적인 협의를 위해 지난 6일 베이징을 방문했다”고 전했다. 샴카니 의장은 무사드 빈 무함마드 알아이반 사우디 국가안보보좌관과 4일에 걸친 회담 끝에 이날 국교 정상화에 최종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AP는 “중동에서 미국이 서서히 발을 빼는 것으로 걸프 국가들이 인식하는 가운데 벌어진 중국의 중요한 외교적 승리”라고 평가했다.

이슬람 시아파와 수니파의 종주국으로 중동 지역의 주도권을 다투는 이란과 사우디는 2016년 단교 이후 예멘과 시리아 내전 등에서 서로 적대 진영을 지원하면서 갈등을 이어왔다. 하지만 2021년부터 이라크와 오만의 중재로 여러 차례에 걸쳐 관계 개선을 위해 직접 협상을 진행했다.

양국은 이날 성명에서 “2021년과 2022년 양측의 회담을 주선한 이라크와 오만은 물론 이번 회담을 주선한 중국 지도자들과 정부에 사의를 표한다”고 말했다.

이날 중국의 외교라인 1인자인 왕이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은 “대화와 평화의 승리”라며 앞으로도 세계의 주요 문제를 다루는 데 건설적인 역할을 지속해 주요 국가의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번 협상 과정에서 빠져 있던 미국의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우리는 양국의 외교적 성과를 환영한다”면서도 “이란이 의무를 이행할지는 두고 봐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중국의 영향력 확대에 대해 평가절하했다. 커비 조정관은 사우디와 이란간 합의에서 중국의 역할에 대해 "이것은 중국에 대한 것이 아니다"라면서 "이란이 사우디와의 협상 테이블에 나오도록 한 것은 대내외적인 압력 때문이지 대화하고 협상하라는 중국의 초청 때문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반면 미국 내에서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자신의 대선 선거운동 때 제시한 '왕따 공약'을 접고 방문한 사우디가 이란과의 관계를 정상화하고 중국이 이를 중재했다는 얘기까지 나오면서 바이든 정부가 사우디에 뺨을 맞은 격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김지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