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TV·방송

[넷플릭스 모니터] '나는 신이다' 사회 경종이 최선일까, 선정성 시비가 우선일까

[넷플릭스 모니터] ‘나는 신이다: 신이 배신한 사람들’

사이비 종교 실태 사회 경종 울려

피해 사실 집중 연출 방식에는 지적 잇따라

'선정성' 기준은 무엇?

/ 사진=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시리즈 '나는 신이다'/ 사진=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시리즈 '나는 신이다'




“본 영상은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한 장면을 포함한 사실적인 성적 학대 묘사가 있으며, 이는 일부 시청자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습니다.”



넷플리스 다큐멘터리 시리즈 ‘나는 신이다: 신이 배신한 사람들’(이하 ‘나는 신이다’) 첫 화면에 나오는 문구다. 사회고발적 다큐멘터리가 으레 넣는 경고문인 줄 알았더니, 말 그대로 ‘사실적’이고 ‘불쾌감’의 연속이다. 이 자극적인 실화는 사회적 공분을 샀고, 현실에서 발본색원하는 움직임으로 확산됐다. 이면에는 제작진의 선정적인 연출 방식이 문제로 떠올랐다. 제작진의 선택은 정말 틀렸던 걸까.

지난 3일 ‘나는 신이다’가 전 세계 공개된 이후로 사이비 종교 단체 JMS(기독교복음선교회)가 화두가 됐다. JMS 교주 정명석이 수십 년간 여성 신도들에게 성폭행해온 것, 우리 사회에 정명석을 따르는 신도들이 곳곳에 있다는 것 등의 이야기다. 대부분 이 이야기의 끝은 “끝까지 보기 힘들었다”고 할 정도로 지나치게 사실적이라는 것이다.

/ 사진=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시리즈 '나는 신이다'/ 사진=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시리즈 '나는 신이다'



맞다. ‘나는 신이다’는 불쾌하다. 이 다큐멘터리는 우리가 알고 있는 MBC ‘PD수첩’, SBS ‘그것이 알고 싶다’ 등 지상파 탐사 보도 프로그램의 수위와 다르다. 실제 피해자들이 자신의 얼굴을 공개하고 피해 사실을 밝힌다. 성폭행 현장의 음성이 담긴 녹취, 여성들의 나체 영상은 변조나 모자이크 없이 그대로 나온다.



‘나는 신이다’ 조성현 PD가 의도한 지점이다. 선정성이 아닌 불쾌한 진실을 전달하는 것. 그러면서 있는 사실 그대로를 화면에 실체화시키는 것에 집중했다. 오히려 조PD는 실제 수위의 10분의 1 정도밖에 다루지 못했다고 한다. 방송법에 따른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을 적용받는 탐사 보도 프로그램들은 측면에서 비스듬히 비추고 시청자들이 추측하게 하는 방식으로 연출한다. 하지만 때로는 전면을 보여주지 않으면 형태를 모를 수 있다. MBC 소속인 조PD가 넷플릭스와 손잡은 이유다.

/ 사진=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시리즈 '나는 신이다' 조성현 PD/ 사진=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시리즈 '나는 신이다' 조성현 PD


사이비 교주들의 민낯이 드러나자 사회적 파급효과는 대단하다. 실체를 밝히기 위해 소리치던 이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기 시작했다. 그간 많은 방송에서 JMS 정명석, 아가동산 김기순, 만민중앙교회 이재록에 대해 들추려 했지만 큰 진전이 없었던 것과 다르다. JMS를 30여년간 추적해 온 김도형 단국대 교수가 생방송에서 “KBS에도 JMS 신도가 있다”고 폭로하자, KBS 측이 즉각 “진상조사에 착수할 것”이라고 입장문을 발표한 것만 봐도 그렇다. 이원석 검찰총장은 정명석의 공소 유지에 최선을 다하라고 일선청에 지시하고, JMS 내부에서도 2인자가 보도 내용을 인정하는 등 움직임이 시작됐다.

분명 적나라한 보도에는 이면이 존재한다. 보도 이후에 일어날 일들에 염려하고, 피해 사실 이전 사회 구조적인 문제에 비중을 두지 못했다는 것에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특히 피해자들이 전면에 나선 만큼 2차 피해에 대한 우려를 지속해야 한다. 최근에는 신도 색출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인터넷상에는 JMS 교회 주소가 공유되고 있고, 연예계에서도 한때 JMS 신도였던 배우 강지섭, JMS 2세인 그룹 DKZ 경윤을 향한 무분별한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조PD는 이에 대해 “그 사람들이 마치 잘못된 사람으로 비치는 건 우려스럽다. 종교를 믿는 사람이 잘못이 아니라 교주와 리더라는 사람들이 문제라는 걸 혼동하지 않았으면 한다”며 “프로그램에서는 다루지 못했지만, 그들에게도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추승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