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지면 좀 어때? 답은 없잖아. 내 확신만 갖고 하면 되지.”
배우 차주영이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더 글로리’를 통해 찾은 결론이다. 그는 남들이 정해놓은 틀을 보기 좋게 깨트렸고, 이해하기 어려운 캐릭터도 자신만의 방법으로 소화했다. 스스로 가능성을 입증한 이제, 더 많은 것을 보여줄 일만 남았다.
‘더 글로리’(극본 김은숙/연출 안길호)는 유년 시절 당한 학교 폭력(학폭)으로 인해 인생이 부서진 여자, 문동은(송혜교)이 자신의 인생을 걸고 가해자들에게 처절한 복수를 하는 이야기다. 최혜정(차주영)은 문동은을 괴롭힌 학폭 가해자 무리 중 하위 서열인 인물로, 돈 많은 남자를 만나 인생을 바꿔보겠다는 허영심으로 가득찼다.
차주영은 최혜정 그 자체였다. 차주영 아닌 최혜정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그렇게 그는 그간의 노력을 인정받고 라이징 스타로 급부상했다.
“파트1 이후에는 정말 이 정도로 인기를 실감하지 못했어요. 어쩌면 외면하려고 했던 것 같아요. 저뿐만 아니라 배우들도 파트2까지 나와야 완결이 되는 것이니 기다렸거든요요. 전 집과 숍, 현장 정도만 다니고 외부 활동을 전혀 안 했거든요. 최근에 드라마 때문에 공항에서 촬영을 하는데 스튜어디스 분들이 지나가면서 ‘스튜어디스 혜정아’라고 하시더라고요. 거기서 인기를 실감했어요.”(웃음)
절대 쉽지만은 않은 역할이었다. 학교 폭력(학폭)을 다룬 작품인 만큼 조심스럽게 다가가야 했고, 가해자이면서도 무리에서 무시를 받는 복합적인 면을 보여줘야 했다. 어떤 것도 참고할 수 없었고, 캐릭터에 대한 물음표가 떠다닌 시간들이 길어졌다.
“이해가 쉽게 되지 않았어요. 그런데 완전히 이해하지 않아도 다른 방식으로 접근해도 되겠다는 걸 느꼈죠. 너무 생각이 복잡해져서 그냥 단순하게 접근했어요. 다시 대본을 보고 텍스트에 집중했고요. 이미 사고는 최혜정이처럼 하고 있고, 현장에 가면 나오는 게 생겼어요. 무의식적으로 최혜정처럼 잡힌 게 많았죠. 이해 안 가는 것과 별개로 연기하는 것은 문제가 없었어요.”
표현하기 가장 어려웠던 건 최혜정이 문동은 대신 학폭 피해자가 될 수도 있었다는 부분이다. 최혜정은 피해자가 되기 싫어 가해자가 되는 것을 선택했고, 한 번의 실수가 걷잡을 수 없는 잘못으로 변질됐다. 차주영은 최혜정을 “멈출 용기가 없던 친구”라고 봤다.
“최혜정이 (가해자 무리와 친구를 유지하는 것은) 잘못된 것들을 떨쳐 낼 용기가 없었다가 벗어나고 싶지 않게 되는 것 때문일 거예요. 본인 스스로 만든 세계에서 내 것은 아니지만 무리에 속해 있으면 자기 것인 양 스스로 가스라이팅 하는 거죠. 무리에 속해있는 것으로 우월감을 느끼고 자존감을 채운 것 같아요. 그런 놀이에 취해있는 게 아닐까요?”
최혜정을 연기하며 유일하게 참고했던 건 ‘연필신’이다. 최혜정은 손명오(김건우) 장례식장에서 이사라(김히어라)에게 연필로 목이 찔리고 목소리를 잃는다. 차주영은 목 수술 후 최혜정의 모습을 표현해야 했기에 선천적 혹은 후천적으로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사람들의 자료를 찾아봤다.
“최혜정이 연필로 찔렸던 부위도 아주 디테일하게 정해서 들어갔어요. 의학적인 위치도 사전 조사를 했고요. 사실적인 것에 중점을 둘지 위트를 섞을지에 대한 논의를 많이 했는데, 그 신만큼은 사실을 기반으로 하되 위트가 섞여도 캐릭터성에서 많이 벗어나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자막으로 대사가 옆에 나오고, 전재준(박성훈)과 최혜정이 티키타카가 분명히 되는 신이니까 사실적으로 딥하게 들어가지 말고 약간 틀었죠.”
매 순간 최선을 다했던 작품이 세상에 공개되고 좋은 반응이 나왔지만, 정작 마음 놓고 시청자 모드가 됐던 건 파트2부터다. 그제야 다른 배우들의 연기를 보며 ‘나보다 더 힘들었겠다’고 생각했다. 그러면서 한명 한명에게 연락해 감명 깊게 봤던 신을 언급하며 감탄사를 내뱉었다. 배우들끼리 캐릭터의 감정선에 대한 토론도 했다.
“배우들끼리 최혜정이 모두를 몰락시킨 장본인이라고 지목하더라고요. 최혜정이 아슬아슬하게 선을 타면서 가볍게 흩날리는, 어디로 붙을지 모르는 그런 것들이 잘 보였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보여서 다행이었어요.”
“최혜정이 전재준을 사랑한 건지도 얘기했던 부분인데 전 사랑이었어요. 시작은 순정이었을 거예요. 다른 배우들은 사랑 아닌 오기라고 하는데, 모든 복합적인 것들이 얽히고설켜서 그런 감정에 중독된 거라고 생각해요. 사랑했기 때문에 배신감이 컸고요.”
최혜정이라는 캐릭터를 두고 다양한 해석이 나올 수 있는 게 반갑다. 이지적이고 도시적인 이미지에 갇혀 있는 줄 알았더니, 새로운 모습을 발견했다는 반응이 즐겁다. 아직 연기에 내공이 생기지 않았지만 어차피 답은 없으니 이것저것 시도해 봐도 되겠다는 확신이 생겼다.
“‘차주영이 이것도 되네? 다른 것도 할 수 있겠는데?’ 같이 저라는 배우에 대해 표현해 주는 말이 좋아요. 어렸을 때부터 말도 잘 듣고 책임감이 있지만, 동시에 반골 기질이 있거든요. 날 갇혀서 보면 깨부수고 싶어요. 아직 부담감은 없어요. 못 해본 게 너무 많거든요. 기대돼요.”(웃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