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지자체마다 "최적지"라지만 인력확보 방안도 없어

■ 반도체특화단지 유치전 속빈강정

부산·광주·충북 등 15곳 도전장

관련학과 대부분 서울·경기 소재

양질의 인력 꾸준한 확보가 관건

한덕수 국무총리가 지난해 11월 4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전략산업 정책의 최고의사결정기구인 제1차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한덕수 국무총리가 지난해 11월 4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전략산업 정책의 최고의사결정기구인 제1차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반도체 단지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지만 정작 여기에서 일할 인력을 확보할 방안은 제대로 마련하지 못해 ‘속 빈 강정’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일 반도체 업계와 지자체 등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의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조성 사업에 전국 15개 지자체가 유치 의사를 밝히고 도전에 나선 상태다. 부산·인천·대전·광주 등 광역시뿐만 아니라 경기 7개 시(고양·남양주·화성·용인·이천·평택·안성), 충북·경북·경남·전남 등 전국 거의 모든 곳이 뛰어들었다. 산업부는 상반기 중 특화단지 지정을 마칠 계획이다. 업계와 지자체 사이에서는 2곳 정도가 지정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관련기사



반도체 업계의 한 관계자는 “문제는 인력 확보”라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측면을 바라봐야겠지만 과연 비수도권 지역에서 첨단 산업단지를 유지할 만한 고급 인력을 꾸준히 수혈할 수 있겠는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지방의 경우 인구 감소, 수도권 대학 진학 선호 현상 등으로 양질의 인력을 확보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학알리미와 입시 업계에 따르면 2023학년도 기준 반도체 관련 학과 신입생 모집 규모(정원)는 1382명인데 이 중 53.8%(744명)가 수도권에 몰려 있다. 그나마 지방의 경우 정원을 채우기조차 버거운 상황이다.

대기업 취업이 보장된 계약학과의 경우 전국에 모두 8곳인데 대전의 한국과학기술원(KAIST)을 제외한 7곳이 서울·경기에 있다. 그나마 삼성전자가 지난달 27일 울산과기원(UNIST)·대구과기원(DGIST)·광주과기원(GIST) 등 지방 과기원 3곳과 반도체 계약학과를 체결했지만 여전히 갈 길이 멀다. 특히 첨단 기술 경쟁의 핵심인 석·박사로 가면 인력 격차는 더욱 심각해진다는 지적이다.

지방 소재 한 반도체 기업의 관계자는 “정부가 아무리 지원책을 쏟아붓는다고 해도 인력을 확보할 방법이 없다면 무위에 그칠 수밖에 없다”며 “수도권에 치우친 인력 양성 정책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