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기업

[뒷북 글로벌] '차이나+1' 최적지… 인도, '세계의 공장' 노리지만 과제가 더 많다

폭스콘, 인도 첫 에어팟 공장 설립

美 시스코 현지공장 설립 결정 등

中 추월한 인구수, 젊은층 많은 구조 매력

낙후된 인프라·교육, 청년실업 등 장애물


#1. KT 라마 라오 인도 텔링가나주 정보기술(IT)·산업장관은 15일(현지 시간) 트위터에서 대만 폭스콘이 관내 콩가르칼라안시에 5억 달러(약 6693억 원) 이상을 투자해 새 공장을 건설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라오 장관은 폭스콘의 투자로 직접적 일자리 2만 5000개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했다. 폭스콘은 대표적인 애플의 하청 생산 업체로, 이번에 만들 공장에서 무선 이어폰 ‘에어팟’을 생산할 것으로 알려졌다.

#2. 유엔 경제사회국은 지난 달 25일 성명을 내 인도 인구가 4월 말 기준 14억2500만 명이며, 중국 본토 인구와 맞먹을 뿐 아니라 추월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브하셰크 굽타 블룸버그이코노믹스 선임 인도 이코노미스트는 “이 나라는 젊으며, 영어 구사력과 노동 인구 증가가 이미 정부의 ‘메이드 인 인디아’ 기조를 지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인도는 이미 중국으로부터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주요 경제권’ 타이틀을 뺏어온 상태다.




인도 텔랑가나주 정부와 대만 폭스콘 관계자들이 현지 공장 건설을 발표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KT 라마 라오 인도 텔링가나주 정보기술(IT)·산업장관 트위터 캡처인도 텔랑가나주 정부와 대만 폭스콘 관계자들이 현지 공장 건설을 발표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KT 라마 라오 인도 텔링가나주 정보기술(IT)·산업장관 트위터 캡처




전 세계 주요 제조 업체들이 최근 들어 생산 기지를 신설·증설하기 위해 인도를 주목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마침내 중국이 ‘세계의 공장 작업장’ 타이틀을 두고 라이벌을 만났다”고 전했다. 그 외 인건비 상승과 자국 업체에 기술을 이전하라는 정부의 압력,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봉쇄, 미국을 중심으로 한 중국과의 디커플링(탈동조화) 압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물이다. 글로벌 업체들에게 인도란 안팎의 지정학적 문제로 바람 잘 날 없는 중국의 위험을 분산할 백업 지대를 찾는 이른바 ‘차이나 플러스원’ 전략을 펴기 좋은 곳이다. 산제이 쿠마르 모한티 뭄바이국제인구과학연구소 교수는 “인도의 정치적·민주적 체제가 중국보다 글로벌 투자에 더 유리하다”고 주장했다.

다만 제조업 기지로서 인도의 가능성을 전망할 때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나란히 있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중국을 추월했다고 추정될 만큼 많은 인구수를 비롯해 젊은 층 비중이 높은 인구구조가 매력이라면 미진한 도시화와 인프라, 교육 수준은 물론 더딘 제조업 발전은 그림자다.

팀 쿡(가운데)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지난달 18일 인도 뭄바이의 애플스토어 1호점을 찾아 손 모아 인사하고 있다. 미중 갈등으로 글로벌 기업들이 ‘차이나 플러스원’ 전략을 앞세워 인도 투자를 늘리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팀 쿡(가운데)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지난달 18일 인도 뭄바이의 애플스토어 1호점을 찾아 손 모아 인사하고 있다. 미중 갈등으로 글로벌 기업들이 ‘차이나 플러스원’ 전략을 앞세워 인도 투자를 늘리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애플 외 반도체·車·풍력 등 ‘차이나+1’ 최적지로 인도 주목



인도에 최근 들어 투자를 늘리는 글로벌 기업 중에는 애플이 단연 눈에 띈다. 팀 쿡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인도를 찾아 나렌드라 모디 총리와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으며 애플은 인도의 시장성에 주목하며 뭄바이에 애플스토어를 여는 등 공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폭스콘의 이번 투자도 애플의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전했다. 또 다른 협력사인 대만 페가트론은 지난해 9월 남부 첸나이에 1억 5000만 달러를 들여 공장을 세운 데 이어 제2공장 설립을 논의하고 있다.

관련기사



인도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FDI)도 2020~2022년 평균 420억 달러에 이르는 등 최근 10년 사이 두 배로 늘었다. 일본 자동차 업체 스즈키도 인도에 자회사를 세워 현지 공장에 7년간 1800억 루피(약 2조 9358억 원)을 투자한다고 지난해 밝힌 바 있다. 미국 반도체 업체 시스코는 10일 인도 현지에 공장을 설립한다는 계획을 발표하며 “앞으로 몇 년간 수출 및 내수를 통해 1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세계 최대 풍력 터빈, 블레이드 제조사 중 하나인 덴마크 베스타스는 2021년부터 남부 스리페룸부두르에 공장 두 개를 건설해 글로벌 생산 기지로 활용하고 있다.



인구구조 매력적이지만 낙후된 인프라, 청년실업 등 걸림돌


노동력면에서부터 인도의 잠재력은 긍정적이다. AP통신은 “인도는 세계에서 젊은 인구가 가장 많이 있고 출산율이 높으며 유아 사망률은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며 “이는 인도에 중국의 경제 궤적을 복제할 수 있는 잠재력이 된다”고 전했다. 국제정치적 조건도 인도에 웃어주고 있다. AP통신은 “미국과 그 동맹국들은 점점 더 세계 최대의 민주주의 국가인 인도를 중국의 균형추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인도는 미중 갈등, 우크라이나 전쟁 등 ‘신냉전’ 구도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제3세계 국가를 묶는 ‘글로벌 사우스’의 맹주를 자처한다. 미국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러시아에 대한 비난은 자제하고 있다.

반면 인도가 중국을 대체할 ‘세계의 공장’으로 올라서려면 해결해야 할 장애물이 많다. WSJ는 인도 현지에 진출한 대만 무역진흥기관 관계자를 인용해 “인도에 공장을 지으려면 토지 확보와 인허가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해외 엔지니어용 비자 발급도 오래 걸린다”고 지적했다. 또 장거리 이주를 꺼리는 인도 생활문화의 영향으로 제조업 생산 기지의 노동력도 부족하다고 덧붙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년실업률이 50% 수준으로 매우 높으며,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20%에 불과하다. 블룸버그통신은 “인도가 성장하려면 도시화, 인프라, 인적 자원 개발, 급속한 제조업 발전이 수십 년 동안 필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인도 국내총생산(GDP)에서 제조업의 비중은 2021년 기준 14%로 27.44%에 이르는 중국의 절반 수준이다. 항공·항만·인터넷·전기 등 인프라 보급률도 중국에 뒤처지며 교육 수준도 낮다.

지난달 25일 인도 우타르프라데시주 로니 마을의 기차역에서 주민들이 만원 기차를 타고 출근하고 있다. AFP연합뉴스지난달 25일 인도 우타르프라데시주 로니 마을의 기차역에서 주민들이 만원 기차를 타고 출근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