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디센터 인터뷰] 쟁글 "'리베이트' 오해받은 영업 수수료…온체인 데이터, 재무제표 역할 할 것"

■이현우·김준우 크로스앵글 공동대표

쟁글, 평가·공시 서비스 중단

리베이트 오해에 '의혹 원천 차단'

온체인데이터 서비스에 주력

"평가·공시 명확한 규제 세워야"

온체인데이터가 평가 표준화 열쇠

30일 서울 강남구 크로스앵글 사무실에서 이현우(왼쪽)·김준우 공동대표가 인터뷰 하고 있다./ 사진=디센터30일 서울 강남구 크로스앵글 사무실에서 이현우(왼쪽)·김준우 공동대표가 인터뷰 하고 있다./ 사진=디센터




가상자산 평가·공시 시스템에 공백이 뚫린 지 일주일째다. 국내 유일한 가상자산 평가·공시 서비스 기업 쟁글이 지난달 22일 서비스 중단을 선언하면서다. 불법 상장수수료를 받은 혐의로 재판 중인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원과 쟁글 사이의 리베이트 구조에 대한 의혹이 일자 쟁글 운영사 크로스앵글의 이현우·김준우 공동대표는 “각종 의혹을 원천적으로 해소하고 예방하기 위한 조치"라며 평가·공시 서비스 중단을 발표했다.

“영업 소개료를 ‘리베이트’로 오해…의혹 방지 차원 서비스 중단”



지난달 30일 서울 강남구 크로스앵글 본사에서 만난 이현우·김준우 공동대표는 쟁글을 둘러싼 리베이트 의혹을 강하게 부인했다. 김 대표는 “수백 건이 넘는 가상자산 프로젝트를 상대로 평가 서비스 영업을 하는 게 역부족이어서 파트너사에 영업 소개료로 평가 금액의 10%를 지급한 것이 ‘리베이트’로 둔갑했다”고 설명했다. 코인원에서 평가사로 쟁글을 지정한 것도 리베이트와는 거리가 멀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김 대표는 “평가 사업을 하는 곳이 처음에는 저희뿐이었다”며 “만약 (코인원이나 쟁글이 이득을 보는) 리베이트 구조가 있다면 다른 평가사들이 들어오지도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거래소들은 상장심사 과정에서 쟁글뿐 아니라 중국계 평가사 토큰인사이트 등의 보고서를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쟁글 매출 구조의 주축으로 알려져 있던 평가·공시 서비스가 중단되는 데에 대한 우려는 일축했다. 이 대표는 “이미 1분기부터 평가 서비스 매출이 많이 줄었다”라며 “평가 서비스는 매출을 늘리기 위해 점수를 더 주거나 영업을 열심히 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쟁글은 온체인 데이터 기반 서비스에 주력할 계획이다. 이미 블록체인 메인넷의 온체인 데이터를 지표화하는 애널리틱스와 실시간 유통량을 확인할 수 있는 라이브워치 등 온체인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온체인 데이터를 지표화 해 투자자에게 제공하려는 메인넷 재단이 쟁글에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이다.

“가상자산 규정 필요…온체인 데이터가 재무제표 역할”


온체인 데이터 서비스가 이미 글로벌 시장의 트렌드로 자리 잡은 것도 쟁글이 온체인 데이터 서비스에 주력하게 된 이유다. 김 대표는 “세 번째 크립토윈터가 온 현재는 돈을 벌 수 있느냐를 떠나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어떤 면에서 활용되는지를 보여주는 펀더멘탈이 중요해졌다”며 “자연스레 온체인 데이터 면에서도 분야별로 구체적인 니즈가 나오기 시작해 본격적으로 사업화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온체인 데이터 서비스는 향후 쟁글이 평가 서비스를 재개하는 데에도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두 공동대표는 서비스 재개가 확실한 것은 아니라면서도 온체인 데이터 분석 역량을 키우는 것이 평가 서비스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 대표는 “가상자산 평가를 3~4년 넘게 해보면서 느낀 것은 프로젝트의 역량을 전체적인 맥락에서 이해하고 평가하는 전문성이 중요하다는 점”이라며 “온체인 데이터에 집중하는 것도 평가가 발전하기 위해선 정량적인 모델이 있어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단 가상자산 평가·공시에 대한 명확한 규제가 세워지는 것이 우선이다. 정책적인 명확성이 갖춰지지 않는다면 쟁글의 평가·공시 서비스를 악용하는 사례를 막을 수 없고 이번과 같은 리베이트 의혹에서도 자유로울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이 대표는 “이번 의혹의 시작점은 명확한 규제가 없다는 데 있다”며 “(쟁글의 사정을) 잘 모르는 사람들이 보기엔 오해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모두가 이해할 수 있는 기준과 처벌 방식, 어떤 사람이 어떤 자격으로 공시나 평가를 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해 정부가 규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최근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가상자산법안 입법 과정에서도 관련 내용이 반영되도록 의견을 낼 방침이다.

다만 가상자산 평가 기준 표준화가 근본적으로 쉽지 않다는 점에도 동의했다. 이 대표는 “가상자산 산업은 초창기로 기존 산업들 역시 초창기에는 심사위원이나 VC 등이 각각 다른 평가 의견을 냈다”며 “또 커뮤니티에서 인정받는 프로젝트와 평가 기준 간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그는 가상자산 평가 기준의 표준화를 이룰 열쇠로 온체인 데이터를 꼽았다. 이 대표는 “온체인 데이터가 가상자산 시장에서 재무제표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정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