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중성화 수술 대신 주사 한 방으로 피임…길고양이 개체 수 조절 기대

항뮐러호르몬(AMH) 유전자 투여 고양이

AMH 수치 높아지고 배란 하지 않았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외과적 불임 수술을 하는 대신 유전자 주사로만 고양이 피임이 가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중성화 수술 없이도 고양이 개체수를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하버드대의대·매사추세츠종합병원(MGH) 데이비드 페핀 교수와 신시내티동물원 윌리엄 스완슨 박사팀은 이달 초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암고양이의 난자 성숙과 배란을 막는 피임법과 관련한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연구팀은 2017년 설치류 암컷에서 항뮐러호르몬(AMH) 수치를 높이면 난포 성장을 억제해 배란과 임신을 막을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고양이에 적용했다.



이번 연구에선 AMH 유전자를 유전자 치료에 사용되는 아데노 연관 바이러스(AAV)에 실어 암고양이 6마리의 허벅지에 주사했다. 대조군인 암고양이 3마리에겐 AAV만 주사했다.

관련기사



연구진들이 2년간 고양이의 대소변에서 호르몬 수치를 모니터링한 결과, AMH유전자를 맞은 고양이들은 2년간 배란을 하지 않았다.

이 기간 동안 4개월씩 두 번 수컷고양이와 짝짓기 실험을 한 결과, AMH가 투여된 6마리는 모두 임신하지 않았으나 대조군인 3마리는 모두 새끼를 낳았다.

페핀 교수는 “불임 유전자를 단 한 차례 투여한 고양이들은 난소에서만 생성되는 AMH가 근육에서도 생성돼 전체 AMH 수치가 정상보다 약 100배 높아졌다”고 말했다.

다만 AMH 유전자가 투여된 암고양이들은 에스트로젠 같은 중요 호르몬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연구진에 따르면 주사 맞은 고양이들을 2년간 지켜본 결과, 부작용 등 이상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한다.

연구진은 AMH 유전자로 주사제를 만들어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전세계에는 약 6억 마리의 길들인 고양이가 있는데, 이 가운데 80%가 길고양이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페핀 교수는 “앞으로 바이러스 벡터 생산 기술이 발달해 이 피임약이 길고양이 개체 수 조절에 사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김유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