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제2금융

‘위기설’ 휩싸인 새마을금고…87개 대출 사업장 집중관리

행안부, 관리형 토지신탁 등

연체율 높은 법인대출 점검

중앙회는 한시적 이자감면

"모럴 해저드 조장" 비판도


새마을금고 연체율이 급등하고 수신 잔액까지 줄어들자 새마을금고중앙회가 연체율 관리에 나섰다. 주무부처인 행정안전부도 특별 점검 등에 나서며 부랴부랴 부실 관리에 나선 모습이다.

3일 상호금융 업계에 따르면 행안부는 새마을금고의 관리형 토지신탁 등 3조 2000억원 규모의 87개 사업장에 대해 ‘지역본부 전담 관리제’를 운영하겠다는 계획을 이날 국회에 보고했다. 관리 대상은 관리형 토지신탁 대출 관련 13개 사업장(1800억 원), 200억 원 이상 대출 74개 사업장(2조 9998억 원)이다.



새마을금고의 법인대출 연체율이 10%를 육박할 정도로 악화한 가운데 법인대출의 상당 부분이 관리형 토지신탁 방식으로 취급한 대출인 만큼 이를 집중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홍성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의 올해 1분기 말 기준 법인대출 연체율은 9.99%로 지난해 말 6.72% 대비 3.27%포인트 증가했다.

관련기사



이와 함께 행안부는 이달 12일부터 지난해 말 기준 전국 1294개 개별 새마을금고 가운데 연체율이 높은 30개에 대해 특별 검사를, 70개에 대해 특별 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 검사 결과에 따라 지점 통폐합 등 구조조정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새마을금고중앙회도 자체적으로 연체율 관리에 나섰다. 올해 말까지 한시적으로 채무조정 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하기로 한 것이다. 특히 이번에는 정상이자를 납부하지 않아도 연체이자는 물론 기존에 밀린 정상이자까지 모두 감면하도록 프로그램을 확대했다. 중앙회는 최근 이 같은 프로그램을 지역별 금고 이사장 승인에 따라 운영할 수 있다는 내용의 공문을 발송했다. 하지만 이 같은 조치에 일부 고객들 사이에서는 불만도 나오고 있다. 한 커뮤니티 이용자는 “아무리 연체율 관리가 급해도 그렇지 연체 대출을 정상 대출로 만들어준다면 앞으로 누가 이자를 낼 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새마을금고의 올해 1분기 전체 대출 연체율은 5.34%로 지난해 말 3.59% 대비 1.75%포인트 높아졌다. 같은 기간 저축은행 연체율 5.07%보다도 높으며 2분기 들어 상승세가 더 가팔라지면서 6월 21일 기준 6.40%인 것으로 알려졌다.

백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