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채권

상반기 日주식 매수 4만4752건 '사상 최대'

경기회복·엔저 효과에 투자 몰려

순매수 금액도 13배 늘어 1.3억弗





올 들어 일본 증시가 경기회복과 엔저 효과 등에 힘입어 연일 최고치를 갈아치우자 국내 투자자들도 상반기에 일본 주식을 역대 최대 수준으로 사들인 것으로 집계됐다.



3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 30일까지 국내 투자자의 일본 주식 매수 건수는 총 4만 4752건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2만 6272건)보다 70%가량 증가한 수치다. 2011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최대 규모이기도 하다.

관련기사



특히 국내 투자자의 일본 주식 매수 건수는 시간이 갈수록 더 늘어났다. 국내 투자자들은 지난달 일본 주식을 사상 최다인 1만 4494번 매수했다. 이는 직전 기록인 5월 7757건의 두 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순매수 규모도 급증세를 보였다. 국내 투자자들이 상반기에 일본 주식을 순매수한 금액은 1억 3200만 달러(약 1741억 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000만 달러보다 무려 13배 이상 늘었다. 2021년 상반기의 3억 4500만 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금액이다. 지난달 29일 기준 국내 투자자들의 일본 주식 보관액은 약 31억 300만 달러(약 4조 928억 원)로 지난해 말(26억 1100만 달러)보다 약 5억 달러 증가했다.

한국 투자자들이 올해 일본 주식을 대거 매집하는 것은 일본 경제가 점진적인 회복세에 들어갔다는 기대가 확산한 데다 엔화 가치까지 사상 최저 수준으로 내려갔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이 4월 방일 기간에 종합상사 등 일본 주식을 더 살 뜻을 내비친 것도 투자심리 개선에 영향을 줬다. 실제로 버크셔해서웨이의 자회사는 지난달 일본 종합상사 5곳의 지분을 평균 8.5% 이상 늘렸다.

투자 전문가들 상당수는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으로 하반기에는 일본 주식의 상승 여력이 크지는 않다고 보면서 조정장을 염두에 둔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채윤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해외투자가 순매수 지속, 글로벌 제조업 체감경기 회복이 일본 증시 상승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면서도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과 금리 인상 여파 등은 투자 위험 요소”라고 분석했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