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서울-양평 고속도로 백지화 철회"…범군민 대책위원회 출범한 양평군민

양평군이장협의회 중심 범대위 대책위 구성

"청천벽력 같은 소식 절망감뿐…정쟁 대상 아냐"

전진선 양평군수 "가짜뉴스 내세워 정쟁, 백지화 사태까지"

10일 오전 10시 경기 양평군청 앞에서 열린 '서울-양평 고속도로 사업 재추진 범군민대책위원회 발대식'. 연합뉴스10일 오전 10시 경기 양평군청 앞에서 열린 '서울-양평 고속도로 사업 재추진 범군민대책위원회 발대식'. 연합뉴스





서울-양평고속도로 사업 백지화 발표로 후폭풍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양평군민들이 사업의 조기 정상화를 위해 범군민 대책위원회를 출범했다.

관련기사



양평 지역 주민 500여 명은 10일 오전 10시께 양평군청 앞에서 대책위 발대식을 열고 서울-양평 고속도로 사업에 대한 전면 재추진을 촉구했다. 고속도로 사업의 재추진 필요성을 느낀 양평군 이장협의회를 중심으로 구성된 대책위는 "지난 40년간 2600만 명의 수도권 식수원이라는 미명 하에 중앙정부로부터 온갖 중첩규제로 주민의 생존권과 재산권 및 행복 추구권을 박탈당했다"며 "군민들의 마지막 염원이었던 고속도로 사업 백지화 발표라는 청천벽력 같은 소식을 듣고 절망적인 마음뿐"이라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양평군은 정쟁의 대상이 아니다"며 "중앙정부와 정치권은 즉각 정쟁을 중단하고, 하루빨리 고속도로 백지화를 철회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범대위는 앞으로 사업 추진 재개를 위한 군민 10만 명 서명운동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발대식에는 전진선 양평군수와 김선교 국민의힘 여주양평 당협위원장, 윤순옥 군의회 의장 등도 참석했다. 발대식 이후 기자들과 만난 전 군수는 "양평군민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방법은 나들목(IC) 설치뿐"이라며 "그런데 민주당은 김건희 여사 특혜만 내세워 정쟁으로 몰고 갔고, 결국 백지화까지 가는 사태가 벌어졌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런 가짜뉴스로 군민만 피해를 보게 됐다"며 "더 이상 정쟁의 대상으로 몰아가지 말고 희생을 강요 당해 온 양평군민만 생각해 달라"고 호소했다


양평=이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