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6조원 이상 은행권 유동성 공급에…새마을금고 사태 진정 국면

5대 시중은행과 산은·기업 지원 나서

RP 6조원이상 매입…자금경색에 숨통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 새마을금고 자금 이탈 규모가 감소세로 전환된 지 이틀째인 9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새마을금고 지점의 모습. 새마을금고 위기설로 인해 지난주 내내 확대 분위기던 자금 이탈 규모는 지난 7일 처음으로 감소세로 전환됐다. 2023.7.9 ksm7976@yna.co.kr(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 새마을금고 자금 이탈 규모가 감소세로 전환된 지 이틀째인 9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새마을금고 지점의 모습. 새마을금고 위기설로 인해 지난주 내내 확대 분위기던 자금 이탈 규모는 지난 7일 처음으로 감소세로 전환됐다. 2023.7.9 ksm7976@yna.co.kr





뱅크런 위기까지 직면했던 새마을금고 사태가 6조원 이상에 달하는 은행권의 단기 유동성 공급 등에 힘입어 진정 국면으로 접어드는 분위기다.

관련기사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과 산업은행·기업은행이 지난 주말부터 이날까지 새마을금고와 RP(환매조건부채권) 매입 계약을 체결했다. 해당 계약은 새마을금고가 보유한 국고채·통화안정증권채권(통안채) 등을 각 은행들이 일종의 담보로 받고(RP 매입) 대신 자금 유동성을 공급하는 내용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새마을금고 단기 유동성 지원에 적극적으로 협조해 달라”는 지난 7일의 금융당국 요청에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지원에 적극적으로 협조해달라"는 요청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해 신한은행을 제외한 6개 은행이 새마을금고중앙회와 각 5천억∼2조원 규모의 RP 매입 계약을 체결해 모두 6조2000억원가량이 이미 새마을금고에 지원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뱅크런 우려도 누그러지고 있다. 지난 주말이 지나고서도 예금자 이탈 규모 축소세가 이어졌다는 게 정부의 시각이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