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짝퉁 거북선' 초라한 퇴장…"제작비 20억→낙찰가 154만원→112t 철거물"

154만원에 매각 시도했지만 낙찰자 인도 포기

11일 오전 경남 거제시 거제 해양문화관 내 위치한 거북선이 철거되고 있다. 거제=연합뉴스11일 오전 경남 거제시 거제 해양문화관 내 위치한 거북선이 철거되고 있다. 거제=연합뉴스




20억원을 들여 제작했지만 이른바 ‘짝퉁’ 논란과 부실시공으로 애물단지 신세가 됐던 ‘1592 거북선’이 결국 철거되며 거대한 목재 더미로 남았다.



11일 진행된 철거현장에서 거북선 선두에 달려 있던 용 모양의 머리가 포크레인의 움직임 한 번에 금방 떨어져 나갔다.

길이 25.6m, 폭 8.67m, 높이 6.06m 크기의 위용을 뽐내던 거북선은 서서히 형체를 알아볼 수 없는 폐기물로 바뀌었다.



작업이 약 1시간쯤 지났을 땐 마치 포탄을 맞은 듯 거북선이 뻥 뚫려 전장에 나섰다 막 돌아온 듯한 느낌마저 들었다. 특히 이날 내린 장맛비로 거북선의 퇴장모습은 초라했다.

관련기사



철거가 어느 정도 이뤄진 후에는 철근 해체 작업도 일부 이뤄졌다. 포크레인의 움직임에 따라 하나씩 철거된 거북선은 이날 전체의 60% 정도 철거됐다. 이번 작업에서 해체되는 양만 약 112톤에 달한다.

거제시는 이날부터 오는 23일까지 거북선 해체 공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거북선을 완전히 철거하면 남은 폐기물을 소각장에서 불에 태우고 철근 등은 고물상에 팔 계획이다.

이번 거북선은 경남도가 2010년 ‘이순신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제작됐다. 1592년 임진왜란 당시의 거북선을 재현해 ‘1592 거북선’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당시 국비와 도비를 합쳐 약 20억원이 투입됐지만 제작 당시부터 국산 소나무를 쓰도록 한 시방서와 달리 80% 넘게 수입 목재를 쓴 것으로 나타나 이른바 짝퉁 거북선 논란이 일었다.

또 방부 처리를 소홀히 해 목재가 심하게 부식되거나 뒤틀렸고 지난해 태풍 힌남노 때는 선미(꼬리) 부분이 파손돼 폐기 처분해야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에 거제시가 지난 2월 매각을 시도했지만 7번이나 유찰된 끝에 154만원에 낙찰되기도 했다. 하지만 낙찰자가 인도를 포기하면서 결국 이날 철거되는 운명을 맞았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