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탄소중립 실현’ 목제품 이용 확대가 해법…“전남형 산림탄소흡수원 증진 고민해야”

김호진 전남도의원, 목재 건축물 활용 제안

“효과 100%…목재 수확 인식 개선 필요해”

김호진 전남도의원(더불어민주당·나주1) 사진 제공=전라남도의회김호진 전남도의원(더불어민주당·나주1) 사진 제공=전라남도의회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전남형 산림탄소흡수원 증진과 국산 목제품 이용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8일 전남도의회에 따르면 김호진 의원(더불어민주당·나주1)은 전남도 차원의 전남형 산림탄소흡수원 증진 종합대책 마련과 국산 목제품 이용 확대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김 의원은 지난 14일 환경산림국 업무보고에서 “산림탄소흡수원으로 인정받고 있는 목제품은 탄소저장고로 큰 주목을 받고 있지만 목재 이용량은 미비하고 자급률은 15%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이어 “목조건축물 1동(100㎡) 규모에서 탄소저장능력 13톤, 탄소대체 27톤 정도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있고, 60㎡ 규모의 목조건축물은 1년 동안 자동차 20대에서 발생하는 CO2저장능력을 갖고 있다”며 “국산 목재를 활용한 목조건축 확대를 위해 공공건축물에 목재 활용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적절한 벌목을 통한 건강한 산림 순환과 목재 생산 증대를 위한 조림지 육성도 고민해 달라”면서 “충분히 성장한 나무를 수확하고 어린나무를 심어 가꾼다면 산림에서의 탄소 흡수능력을 늘릴 수 있기 때문에 목재 수확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피력했다.

또한 김 의원은 “목재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는 화석 연료를 대신해 바이오에너지로 사용되지만,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않다”며 “임도 확보, 시군에 보급된 임업기계장비의 효율적 활용방안 모색 등 행·재정적 지원방안을 찾아 활로를 개척해 달라”고 제안했다.

무안=박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