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국정원 "北, 상반기 국내PC 1000만대 넘게 해킹 시도"

"사이버 공격 활동 심화 전망 속

가짜뉴스 유포 등 정책 대응 강화"

北 IT 인력, 국내기업 취업 시도도

국가정보원이 19일 경기 판교 국가사이버안보협력센터에서 개최한 기자 간담회. 사진 제공=국정원국가정보원이 19일 경기 판교 국가사이버안보협력센터에서 개최한 기자 간담회. 사진 제공=국정원




내년 4월 국회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북한·중국·러시아의 대남 사이버 공격과 공작 활동이 심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정보 당국은 과거 대남 사이버 공작을 주도했던 김영철 전 북한 노동당 대남비서가 최근 통일전선부 고문으로 복귀한 점에 주목하면서 북한의 대규모 사이버 도발 강화를 우려했다. 아울러 올해 상반기 국내 PC 1000만여 대에 설치된 이니세이프·매직라인 등 보안 인증 소프트웨어를 해킹해 여러 PC를 장악하려 한 것으로 드러났다.



백종욱 국가정보원 3차장은 19일 경기 성남시 분당구 국가사이버안보협력센터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국정원이 올해 상반기 탐지·대응한 국가 배후 및 국제 해킹 조직의 공격 시도는 일평균 137만여 건으로 집계됐다”면서 “지난해 발생한 118만 건에 비해 15% 증가했고 이 중 북한 연계 조직이 70%로 가장 많았다”고 말했다. 백 차장은 “우리나라의 위상이 높아지니 중국·북한 등이 선거에 개입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면서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AI)이 확산되는 가운데 가짜 뉴스가 유포돼 국민이 오판하는 부분이 없도록 유관 기관과 함께 정책적 대응을 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국정원은 특히 김 전 비서의 복귀에 주목하고 있다. 국정원 관계자는 “김영철은 과거 7·7 디도스(DDoS·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농협 전산망 파괴 등을 주도한 인물”이라며 “내부 결속과 국면 전환을 위해 소프트웨어(SW) 공급망 공격 등 대규모 사이버 도발로 사회 혼란을 유도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국정원은 최근 국내 에너지 분야 기업의 해외 지사에 위장 취업을 시도하던 북한 정보기술(IT) 인력을 발각한 사실도 처음 공개했다. 이에 대해 백 차장은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다”며 “북한의 불법적 외화벌이나 가상자산 탈취는 차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정원은 중국의 사이버 위협에 대해서도 한미 공조를 높이고 공세적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 차장은 “지난달 중국산 계측 장비에서 악성 코드가 설치된 것을 최초로 발견했다”며 “이와 관련해 관계 기관 합동으로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는 기업이 공공기관에 납품한 IT 장비에 대해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강도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