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장맛비 최대치 찍을까…이미 강수량 역대 4위

전날까지 전국 평균 590.8㎜

한라산엔 1년치 비 닷새 만에…

주말부터 또 비 예보…더 내리면

강수량 역대 최대치 기록할 수도

18일 오후 경북 예천군 예천읍 문화 체육센터에 마련된 폭우·산사태 이재민 임시 주거시설에서 이재민이 예상 강수량을 확인하고 있다.18일 오후 경북 예천군 예천읍 문화 체육센터에 마련된 폭우·산사태 이재민 임시 주거시설에서 이재민이 예상 강수량을 확인하고 있다.




잠시 소강 상태에 접어든 장맛비가 주말부터 다시 쏟아진다. 장마가 시작된 이후 지난 18일까지 이미 전국에는 평균 600㎜에 달하는 많은 양의 비가 내리면서 강수량이 역대 4위를 기록했다. 앞으로 장마가 더 이어지면 올해 장마철 강수량이 역대 최대치를 찍을 가능성도 있다.



19일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18일까지 전국 평균 누적 강수량은 590.8㎜로 집계됐다. 1973년 이후 역대 장마철 강수량과 비교하면 4번째로 많고 ‘6월 25일부터 7월 18일까지’ 기간 강수량 중엔 가장 많다. 역대 장마철 중 전국 평균 강수량이 가장 많았던 해는 2006년으로 704.0㎜다.

두 번째와 세 번째로 많은 해는 2020년과 2011년으로 각각 강수량이 701.4㎜와 600.9㎜였다.

충북 지역에 많은 비가 내린 15일 청주시 운천초등학교 운동장이 물에 잠겨 있다. 독자제공, 연합뉴스충북 지역에 많은 비가 내린 15일 청주시 운천초등학교 운동장이 물에 잠겨 있다. 독자제공, 연합뉴스


특히 올해 장마철 남부지방 평균 강수량은 635.8㎜로 장마철 강수량으로 역대 2위에 해당했고 같은 기간 강수량으로는 1위였다. 중부지방 평균 강수량은 542.1㎜로 장마철 강수량으로는 7번째로 많았고 동기 강수량으로는 세 번째로 많았다.

지난달 25일 이후 이달 18일까지 전국 누적 강수량. 기상청 제공.지난달 25일 이후 이달 18일까지 전국 누적 강수량. 기상청 제공.



자동기상관측장비(AWS) 설치 지점별 지난달 25일 이후 현재(19일 오전 11시)까지 누적 강수량을 보면 제주 한라산 삼각봉에 총 1890㎜ 비가 쏟아졌다. 제주에 1년 평균 내리는 비(1545.5㎜~1792.6㎜)보다 많았다.

관련기사



지리산 부근(전남 구례군 성삼재 1145.0㎜·피아골 1064.5㎜, 전북 남원시 뱀사골 1035.5㎜)에도 1000㎜가 넘는 많은 비가 내렸다.

전남 담양군 봉산면(1019.0㎜)과 충남 양군 정산면(1009.5㎜)에도 연강수량에 맞먹는 1000㎜ 이상 비가 쏟아졌다.

주요 도시 누적 강수량은 서울 472.7㎜, 인천 346.7㎜, 대전 846.3㎜, 광주 936.1㎜, 대구 439.6㎜, 울산 346.2㎜, 부산 786.0㎜다.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19일 오전 11시까지 누적 강수량 분포도. 기상청 제공.지난달 25일부터 이달 19일 오전 11시까지 누적 강수량 분포도. 기상청 제공.


장맛비는 대부분 지역에서 금요일인 21일까지 내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제주에는 21일에 가끔 비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

토요일인 22일에는 오전까지 전남·제주에, 오후부터 전국에 비가 오겠다. 이 비는 24일까지 전국에서 이어지겠으며 중부지방과 전북은 25~26일에도 강수가 계속될 것으로 예보됐다.


김남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