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警, '오송 지하도 참사' 부실대응 논란에 블랙박스 공개…"최선 다해 움직여"

23일 충북경찰청에서 영상 공개하고 부실대응 논란 반박

2시간여 조치 내용 담긴 블랙박스에 침수대응 활동 담겨

상황실 지령에도 궁평2지하차도로 안 간 점은 해명 안돼

관련 경찰관 6명에 대한 국조실 수사의뢰로 검찰 수사 중

23일 충북 청주시 청원군 주성동 충청북도경찰청에서 오성철 충북경찰청 지역경찰계장이 ‘오송 순찰차 블랙박스 공개’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승령 기자23일 충북 청주시 청원군 주성동 충청북도경찰청에서 오성철 충북경찰청 지역경찰계장이 ‘오송 순찰차 블랙박스 공개’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승령 기자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에서 발생한 침수 사고와 관련해 부실 대응 의혹을 받고 있는 경찰이 당일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파출소의 순찰차 블랙박스 영상을 공개하며 부실 대응 의혹에 반박하고 나섰다.



윤성철 충북경찰청 지역경찰계장은 ‘오송 순찰차 블랙박스 공개’ 브리핑을 열고 “현장에서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거나 현장에 출동하지 않았다는 등의 의혹 보도로 인한 오해의 소지를 해소하고자 오송 순찰차의 블랙박스 영상을 공개하기로 결정했다”고 23일 밝혔다.

경찰이 공개한 영상은 사고 당일인 15일 오전 7시4분부터 9시1분까지 오송 파출소 순찰차의 행적이 담겼다. 이날 경찰은 원본 영상을 공개하고 시간대에 따른 주요 조치사항 등을 상세히 설명했다.

경찰에 따르면 사고 당일 오송 파출소 소속 경찰관 2명은 쌍청리회전교차로, 궁평1교차로, 탑연삼거리 등지에서 교통 통제와 주민 대피 등 활동을 하며 침수 피해에 대응했다.

그러나 허위보고와 신고를 받고 출동하지 않았다는 등 의혹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는 명확한 해답을 내놓지 못한 채 “검찰 수사가 의뢰된 사안으로 이 자리에서 답변하지 못한다”는 말만 되풀이 헀다.

오송 궁평2지하차도 침수사고 경찰 조치 자료. 충북경찰청 제공오송 궁평2지하차도 침수사고 경찰 조치 자료. 충북경찰청 제공




경찰이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15일 오전 7시58분께 흥덕경찰서 112 상황실은 ‘궁평지하차도도 통제가 필요하다. 미호천교가 넘치려고 한다. 오송 주민들 대피시켜야 할 것 같다’라는 신고를 받고 현장에 있던 순찰차에 범람한 미호천교와 가장 가까운 궁평2지하차도로 출동하라는 지령을 내렸다. 그러나 순찰차는 궁평2지하차도로 향하지 않고 당시 위치해있던 쌍청리 회전교차로에서 오전7시47분께 접수된 또 다른 신고 처리를 위해 이동했다. 이에 대해 경찰은 당시 순찰차에 설치된 태블릿피시(PC)가 잘 작동하지 않아 조치를 취하는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순찰차에 신고 접수가 되지 않았다는 입장을 밝히며 검찰 수사 대상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후 오전 8시8분께 궁평1지하차도를 경유해 궁평1교차로에 도착한 경찰관들은 해당 지역에서 교통 통제를 시작했는데 이 시각 흥덕서 상황실은 파출소 직원들이 궁평2지하차도에 도착했다고 판단하고 신고를 종결 처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관들이 궁평2지하차도에 도착한 것은 15일 오전 9시1분께다. 오전7시4분과 7시58분 같은 신고자에 의한 두 차례의 신고가 있었음에도 궁평2지하차도에 경찰관들이 출동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검찰에 수사 의뢰된 사안으로 답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앞서 국무조정실에서도 이번 사건을 조사하면서 지령이 있었음에도 현장에 가지 않은 것에 대한 의혹을 제기하면서 대검찰청에 관련 경찰관 6명에 대한 수사를 의뢰했다.

경찰은 “미호강 주변 침수 도로에서 교통 통제와 지역 주민 대피를 위해 최선을 다해 움직였다”고 강조했다.

이승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