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월북' 미군, 작년에도 부대 '무단이탈'…"본국 귀환 거부했다"

미 정부, 미군 월북 후 북한과 접촉하고 있지만 반응 없어

트래비스 킹 이병. 연합뉴스트래비스 킹 이병. 연합뉴스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을 통해 월북한 주한미군 육군 이등병 트래비스 킹이 과거에도 주둔 기지를 무단이탈한 전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현지시간) 미국 ABC 방송에 따르면 킹 이병이 지난해 9월 4일에도 복무지를 이탈했으며, 소재 파악이 이뤄진 뒤에도 기지로 돌아가거나 본국으로 귀환하는 것을 거부했다.



당시 킹 이병은 캠프 보니파스에서 수색병으로 복무 중이었으며 복무지 이탈 이후 캠프에서 40km 떨어진 의정부에서 발견된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캠프 보니파스는 비무장지대(DMZ)에서 남쪽으로 400m, 군사분계선에서는 남쪽으로 2400m인 파주 문산읍에 위치한 기지다. 한국 육군과 주한미군이 함께 근무하는 이 곳은 2006년까지 미군이 관할하다 한국에 반환됐다. 캠프 보니파스에는 판문점 지역 경비를 맡는 한미 공동 경비 중대도 포함돼 있다.

ABC는 “킹 이병이 배치받은 기지의 특성과 수색병으로서 역할을 감안하면, 그가 DMZ를 넘는 위험을 인지하고 있었을 수 있다”라고 전했다.

미국 정부는 킹 이병의 월북 이후 복수의 경로를 통해 북한측에 킹 이병의 소재 및 안위 파악을 위한 접촉을 시도하고 있지만 북한 측으로부터 어떤 응답도 받지 못한 상황이다.

미국 내에서는 2016년 북한 관광 중 억류됐다 풀려났으나 곧 숨진 미국인 대학생 오토 웜비어 사태 트라우마로 킹 이병의 신변 안전을 놓고 우려가 고조되는 상황이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