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삼성 노트북용 OLED 유해물질 기준치 이하

전자업계 첫 안전성 'HSA' 인증

삼성디스플레이의 23년형 노트북용 OLED가 업계 최초로 SGS 유해물질 최소화 인증인 ‘HSA’를 받았다. 사진 제공=삼성디스플레이삼성디스플레이의 23년형 노트북용 OLED가 업계 최초로 SGS 유해물질 최소화 인증인 ‘HSA’를 받았다. 사진 제공=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가 2023년형 노트북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14종이 중금속, 잔류성 유기 오염물, 생태계 미분해물 등 총 300여 종에 이르는 유해 물질 검증에서 기준치 이하 최저 수치를 기록해 글로벌 안전 인증기관인 SGS로부터 ‘HSA’ 인증을 받았다고 24일 밝혔다.

관련기사



HSA는 제품의 성분 분석을 통해 인체 유해 물질의 사용 정도를 평가하는 친환경 제품 인증으로 기존 유해 물질 평가인 ‘로하스(RoHS)’ 대비 30배 많은 유해 물질을 검증한다. 특히 패널을 파괴 분석해 제품의 사용부터 재활용 및 폐기까지 제품 생애주기 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성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잭슨 우 SGS 홍콩 사무국 부국장은 “전 세계적으로 환경 관련 규제가 증가하는 가운데 유해 물질 안전성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며 “‘HSA’ 인증 1호 전자 제품인 삼성디스플레이의 노트북용 OLED는 전문적인 유해 물질 검증을 거쳐 친환경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삼성디스플레이 관계자는 “OLED의 차별화된 화질 특성과 더불어 유해 물질을 최소화한 소재 및 부품 개발에 집중해왔다”며 “노트북용 OLED 전 제품의 ‘HSA’ 인증은 당사의 친환경 기술 개발의 큰 성과로 소비자들에게 더 나은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노우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