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SDI·스텔란티스, 북미 합작 2공장도 짓는다

IRA 영향 전기차시장 급성장에

30억달러 이상 들여 공장 건설

1·2공장 생산능력 67GWh로↑





삼성SDI(006400)가 글로벌 완성차 업체인 스텔란티스와 미국에 두 번째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짓는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의 영향으로 급성장하는 북미 전기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투자로 해석된다.



삼성SDI와 스텔란티스는 지난해 미국 인디애나주에 설립한 합작법인 스타플러스에너지의 2공장을 건설하기 위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양사는 2027년 가동을 목표로 연산 34기가와트시(GWh)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신규 공장이 들어설 부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2공장 건설과 관련한 투자 금액은 밝히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30억 달러 이상이 투입될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기사



현재 건설하고 있는 인디애나주 코코모시의 1공장은 생산능력을 애초 23GWh에서 33GWh로 확대해 2025년 1분기부터 가동한다. 여기에 2공장까지 더하면 삼성SDI가 미국에서 스텔란티스에 공급할 수 있는 전기차 배터리 용량은 총 67GWh로 확대된다.

1·2공장에서는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와 순수전기차(BEV)에 들어가는 각형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배터리를 생산한다. 삼성SDI는 2공장 건설로 미국 전기차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스텔란티스의 전동화 전략에도 동참할 계획이다.

양사는 급속히 증가하는 북미 전기차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2공장 건설을 결정했다. IRA가 시행되며 전기차 보조금이 확대됐고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면서 전기차와 배터리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북미 현지 생산 물량을 늘려 IRA에 따른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 혜택을 극대화하겠다는 셈법으로도 풀이된다. AMPC는 미국 내에서 배터리를 생산하면 1㎾h당 35달러의 세액공제를 제공하고 모듈까지 생산하면 10달러의 세액공제를 추가로 제공하는 내용의 유인책이다.

최윤호 삼성SDI 사장은 “지난해 스텔란티스와 합작법인 설립을 통해 북미 전기차 시장에 확고한 발판을 마련했다”며 “2공장을 통해 미국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스텔란티스가 미국의 전기차 시대 전환을 앞당길 수 있게 최고의 안전성과 품질을 갖춘 제품을 공급하겠다”고 말했다.

카를루스 타바르스 스텔란티스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신규 공장을 통해 2030년까지 북미 지역에 최소 25개의 신규 전기 차종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삼성SDI와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미국 내 생산능력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삼성SDI는 미국 완성차 제조사인 제너럴모터스(GM)와도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삼성SDI와 GM은 미국 인디애나주 북중부 지역인 세인트조셉카운티 내 뉴 칼라일에 배터리 합작법인을 건설하기로 했다고 지난달 13일 발표했다. 양사는 약 30억 달러(약 4조 원) 이상을 투자해 연산 30GWh 이상 규모의 공장을 세울 예정이다.


유창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