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러 온라인 검열, 우크라전 이후 30배 늘었다

‘러시아판 페이스북’ 집중 검열

50일에 한 번 → 매일 삭제

‘전쟁·푸틴·LGBTQ’ 집중 단속

NYT “고강도 검열에도 실속 없어”

러시아 토종 소셜네트워킹서비스인 브콘탁테(VKontakte)의 로고.타스연합뉴스러시아 토종 소셜네트워킹서비스인 브콘탁테(VKontakte)의 로고.타스연합뉴스




러시아 정부의 온라인 검열 빈도가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30배나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캐나다 토론토대 산하 정보통신 연구기관 ‘시티즌랩’은 26일(현지 시간)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중국, 이란, 러시아 등 권위주의 국가들의 인터넷 검열 행위를 추적하는 이 기관은 러시아 최대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인 브콘탁테(VK)를 상대로 러시아 정부가 계정·게시물·영상 삭제를 요구한 법원 명령 300건 이상을 분석했다.

관련기사



보고서에 따르면 러시아 정부는 전쟁 발발 전에 평균적으로 약 50일에 한 번꼴로 VK 측에 삭제 명령을 내렸지만 개전 이후 빈도가 하루에 한 번 수준으로 급증했다.

삭제 조치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비판하거나 성소수자(LGBTQ+)와 관련된 키워드를 사용한 경우 중점적으로 이뤄졌다고 시티즌랩은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조사 결과는 러시아 내에서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된 극도의 정치적 민감성은 물론 러시아의 침공과 관련된 시민들의 접근을 엄격하게 통제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이미 러시아는 개전 이후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등 해외 SNS 서비스에 대한 접속 차단 조치도 내린 상태다.

다만 엄격한 검열 조치에도 개전 후 러시아 내 가상사설망(VPN) 사용량이 급등하는 등 실질적인 언론 통제에는 실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뉴욕타임스(NYT)는 “지난달 민간 용병단체 바그너 그룹의 무장 반란 사태가 일어났을 때 러시아 정부는 ‘예브게니 프리고진’이나 ‘바그너’ 등이 포함된 내용을 모두 차단하려 노력했지만 광범위한 기사와 온라인상 토론을 막지 못했다”고 부연했다.


장형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