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영 김, “한반도 평화 힘을 통해서만 보장돼”

정전협정 70주년 맞아 포린폴리시 기고

문재인 정부 평화협정 시도 재차 비판

영 김 하원의원영 김 하원의원




미 하원 외교위원회 인도·태평양소위를 이끌고 있는 한국계 연방 하원의원인 영 김이 평화는 힘을 통해서만 보장된다며 문재인 정부의 남북평화협정 추진 시도를 재차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27일(현지 시간) 포린폴리시 기고에서 “북한의 김정은은 신뢰할 수 있는 협상 대상이 아니며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위해 불법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며 "그는 문재인 전 대통령의 평화 제의도 시기상조라고 봤다. (북한이 요구하는) 평화협정의 전제 조건은 주한미군 철수”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그는 “한반도의 평화는 말만으로 달성될 수 없으며 행동이 필요하다”며 “구속력 있는 보장은 오직 힘을 통해서만 보장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반도 평화를 위한 이전의 시도들이 지속적으로 실패해왔다는 점을 거론하면서 북한은 지난 2018년 4월27일 문 전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발표한 판문점 선언을 비롯해 남북합의를 계속 깨왔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전쟁의 참혹한 기억이 희미해지며 많은 사람들은 한반도 비핵화를 진전시키고 북한이 협상 테이블로 나오게 할 유일한 방법이 일방적 양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미 양국은 북한이 특정한 조건을 북한이 충족할 때만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추구해야 한다”며 “여기에는 모든 핵 시설과 무기의 불가역적인 파괴 및 해체, 제재를 회피하기 위한 모든 불법 활동의 완전한 중단 등이 포함돼야 한다”고 했다.

2021년 영 김 위원장은 동료의원 34명과 함께 종전 선언을 반대하는 서한을 백악관에 보낸 바 있다.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