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연체율이 지난해 말 3%대에서 올해 6월 말 6%대로 급등한 가운데 수도권과 대구·경북 지역 등 부동산 관련 리스크가 컸던 지역의 금고에서 부실채권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달 초 불거진 새마을금고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위기는 잦아든 분위기지만 부동산 경기 침체가 계속될 경우 부실 위험성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30일 행정안전부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인천 지역 새마을금고의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6.03%로 전년 동기(4.19%), 직전 분기(4.69%) 대비 최대 2%포인트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마을금고의 경우 감독 기준에 따라 NPL 비율이 3% 이하일 경우 ‘우수’, 5% 이하일 경우 ‘양호’하다고 판단하는데 인천 지역은 이를 훨씬 넘어선다. 인천뿐 아니라 올해 1분기 서울의 NPL 비율이 4.91%, 경기 4.82%로 수도권 전반에서 부실이 커진 모습이다.
인천 지역 금고의 NPL 비율이 크게 높아진 것은 미추홀구 일대의 대규모 전세사기와 더불어 건설·부동산업 관련 부실 대출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세사기 피해 주택의 상당수가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에서 대출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연체율 10% 이상인 인천 지역 금고 8곳 중 4곳이 미추홀구에 있다.
다인건설 집단대출 사건으로 홍역을 치른 대구·경북 지역 새마을금고에서도 부실이 확대되고 있다. 대구 지역 새마을금고의 올해 1분기 기준 NPL 비율은 4.43%로 전년 동기(1.95%), 직전 분기(2.91%) 대비 최대 2.5%포인트 가까이 급증했다. 경북 지역의 NPL 비율 역시 1분기 3.99%로 전년 동기(2.07%), 직전 분기(2.84%) 대비 크게 올랐다.
더 큰 문제는 부실채권에 대한 손실 흡수 능력도 떨어진다는 점이다. NPL 비율이 높을수록 부실 위험성이 커 대손충당금을 더 쌓아야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못한 상황이다. 특히 인천 지역 금고들의 경우 NPL 대비 대손충당금 비율이 전국 평균(68.26%)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다. 지난해 말 기준 인천 지역 53곳 금고의 NPL 대비 평균 대손충당금 비율은 51.06%로 집계됐다.
낮은 유동성 비율도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전국에서 유동성 비율이 100% 이하인 금고 수는 전체 1294곳 중 355곳에 이른다. 이는 직전 분기 유동성 비율이 100% 이하였던 621곳의 절반 수준이기는 하나 여전히 금고 4곳 중 1곳은 유동성 비율이 저조하다는 의미다. 이 중 대구 지역 새마을금고의 평균 유동성 비율은 97.62%로 100%가 채 되지 않는다.
한편 새마을금고와 같은 비은행 예금 기관에서 뱅크런 위기가 감지되고 불안감이 계속되자 한국은행은 이들을 대상으로 신속한 유동성 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앞서 한은은 이달 27일 이를 위한 대출제도 개편안을 의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