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청년층 빚 연체율 급등, 좋은 일자리 만드는 게 근본 해법이다


은행에서 대출을 받았으나 이자조차 제때 갚지 못하는 2030세대 청년층이 급증하고 있다. 소득 기반이 취약한 상황에서 대출금리가 계속 올랐기 때문이다. 7일 19개 은행(시중·지방·인터넷은행)이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연령별 주택담보대출 연체율 현황’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기준 20대 이하의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은 0.44%에 달했다. 이는 2018년 3분기 말(0.15%) 이후 최고 수준이다. 20대 이하의 주담대 연체액은 올해 6월 말 기준 1500억 원으로 2018년 9월 말의 200억 원보다 7.5배나 급증했다.

30대의 주담대 연체율도 0.17%로 2019년 3분기 말(0.17%)과 같은 수준으로 상승했다. 한국은행은 6월 발표한 ‘금융 안정 보고서’에서 “2020년 이후 가계 대출 가운데 30대 이하의 비중이 과거보다 높고 연체율도 예상보다 크게 웃돌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2013~2019년 가계 대출 중 30대 이하의 비중은 29.6%였지만 2020~2021년에는 38.3%로 급등했다. 청년층의 연체율 상승은 금융 불안과 소비 위축 등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잖아도 부동산·주식시장이 활기를 찾아가자 2030세대를 중심으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 ‘빚투(빚내서 투자)’ 행태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 들어 5월까지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에서 30대 이하의 비율이 36.5%에 달해 40대(27.8%)와 50대(16.6%)를 크게 앞질렀다.

관련기사



이대로 두면 이미 위험 수위에 다다른 청년층의 빚이 통제 불가 수준으로 급증할 수 있다. 도덕적 해이를 막는 선에서 목돈 마련을 돕고 취약 차주를 위한 채무 재조정 프로그램을 가동하는 등 선제 대응에 나서야 한다. 근본적 해법은 청년층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해 안정적인 소득 기반을 마련해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규제 사슬 등 기업의 ‘모래주머니’를 제거하고 노동시장의 이중 구조를 서둘러 수술해야 한다. 청년들은 구직난을 호소하는데 정작 기업들은 필요한 인력을 찾지 못하는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방안도 적극 모색해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