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남성의 음주량은 줄어든 반면, 여성의 음주량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30일 질병관리청이 발간한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의 음주 심층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21년 남성의 고위험음주율은 25.1%에서 23.6%로 줄었고, 여성은 같은 기간 7.9%에서 8.9%로 늘었다.
고위험음주율은 한 번 마실 때 남성은 7잔, 여성은 5잔 이상을 주 2회 마신 비율을 말한다.
월 1회 이상 고위험 음주를 한 ‘월간폭음률’도 남성은 61.7%에서 56.0%로 줄었으나, 여성은 31.0%에서 31.1%로 늘었다. 월간폭음률은 40~50대 남성과 20~30대 여성이 높았다.
주 4회 이상 술을 마신 ‘지속적 위험음주율’은 남성 10%, 여성 3% 내외로 매년 오르락내리락하고 있다. 이렇게 거의 매일 술을 마시는 사람은 대개 50~60대 남성이었고, 여성은 30대가 많았다.
심층 연구를 한 김광기 인제대 교수는 20~30대 여성의 음주율이 증가한 이유에 대해 “도수가 낮은 술이나 과실주 등 주류 상품 개발로 접근성이 좋아지고, 음주에 대한 사회·문화적 수용성도 높아진 영향”이라고 말했다.
술을 조금 마셔도 금세 얼굴이 빨개지는 알코올 홍조증을 경험한 사람은 10명 중 4명 꼴이었다. 이중 고위험 음주를 하는 사람은 남성 14.0%, 여성 4.3%로 남성이 여성보다 3배 정도 많았다. 알코올 홍조증은 알코올 분해효소가 부족해 생기는 증상으로, 이런 사람이 계속해서 고위험 음주를 하면 식도암 등 암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 고혈압과 당뇨병 등 만성질환 치료 약 복용자 중 고위험음주율도 남성(20.4%)이 여성(9.0%)보다 높았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음주는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음주 행태를 개선하려면 개인뿐만 아니라 음주를 조장하는 환경을 개선하는 등 사회 전반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