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유커 대신 싼커"…롤드컵 홍보관 찾고 K팝 댄스 배우세요

◆"중국인 관광 스타일 달라졌다"…업계 '개별여행 추세' 맞춰 상품 대대적 손질

中 단체관광 허용했지만 효과 지지부진

"지출 범위 더 크다" 개별여행객 정조준

제주 단축마라톤 등 로컬 체험상품 봇물

중국인 관광객이 서울 중구 하이커그라운드 3층에 마련된 ‘2023 리그 오브 레전드’ 홍보관을 방문해 중국팀을 응원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국관광공사중국인 관광객이 서울 중구 하이커그라운드 3층에 마련된 ‘2023 리그 오브 레전드’ 홍보관을 방문해 중국팀을 응원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국관광공사




서울 중구 하이커그라운드 3층에 마련된 ‘2023 리그 오브 레전드’ 홍보관. 사진 제공=한국관광공사서울 중구 하이커그라운드 3층에 마련된 ‘2023 리그 오브 레전드’ 홍보관. 사진 제공=한국관광공사


“BLG 자유(加油·힘내라).” “JDG 최강 4인방 우승 MVP까지.”



26일 서울 중구 하이커그라운드 3층. 중국어로 쓴 포스트잇들이 가장 먼저 방문객들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2023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 오른 중국팀 징동게이밍(JDG)·빌리빌리게이밍(BLG)·리닝게이밍(LNG)·웨이보게이밍(WBG)의 승리를 응원하는 메시지다. 5년 만에 한국에서 개최되는 롤드컵을 보러 온 중국인 여행객들 사이에 입소문이 나면서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는 게 홍보관 측 설명이다. 이날 오후 3시 기준 14명의 중국인이 다녀갔다. 홍보관을 찾는 중국인은 하루 평균 30여 명에 이른다. 한국관광공사 측은 “올해 인터파크를 통해서만 경기 표를 구매할 수 있다 보니 롤드컵을 보러 개별 중국인 관광객들이 얼마나 오는지 현황을 파악하기 어렵다”며 “홍보관을 운영해 그 현황을 파악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정부와 여행·관광 업계가 ‘유커(중국인 단체관광객)’의 대안을 찾기 위해 고민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올 8월 한국행 단체관광을 허용한 후 중국의 최대 황금연휴인 국경절(9월 29일~10월 6일)까지 지났으나 그 효과가 아직 미미하기 때문이다. MZ세대를 중심으로 단체여행 대신 개별 관광을 선호하는 방향으로 바뀐 이유에서다. 정부 및 관련 업계가 ‘싼커(개별 중국인 관광객)’를 겨냥한 상품 개발에 팔을 걷고 나섰다.



31일 한국관광공사 및 업계에 따르면 이달 2일부터 8일까지 중국의 국제항공편(8454편) 가운데 한국은 808편 운항한 것으로 집계됐다. 일본(651편), 태국(632편)보다 많다. 이 기간에 한국을 찾은 중국인들도 늘어난 셈이다. 실제로 퉁청이룽·뤼마마 등 중국계 온라인여행플랫폼(OTA)에 따르면 국경절 연휴 기간 인기 목적지로 마카오·홍콩을 비롯해 태국·한국·일본·싱가포르·말레이시아 등이 꼽혔다.

관련기사



반면 국내 관련 업계에서는 중국의 단체관광 재개 효과를 아직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실제로 중국 국경절이 껴 있던 9월 한국을 찾은 중국인은 26만 3940명으로 전달보다 4000여 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중국의 국제항공편만 봐도 한국행이 많기는 하나 2019년에 비하면 전체의 44.4%밖에 회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중국과 한국을 잇는 하늘길 자체가 아직 코로나 이전 수준에 미치지 못했다. 최근 30명 이상의 유커 대신 가족·친구 단위의 싼커들이 한국을 찾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관광 업계의 한 관계자는 “최근 업무차 중국계 OTA를 만났는데 거기서도 중국인들이 이제 단체관광보다 개별 관광을 선호하고 있다고 봤다”며 “유커 대신 싼커를 유치하기 위한 전략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변화에 중국에 단체여행 상품을 판매하는 여행사들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여행사들은 전통 관광지 구경, 단체 쇼핑 등으로 구성됐던 패키지에서 K팝 댄스 배우기 등 체험 중심으로 바꾸고 있다. 여행 업계의 한 관계자는 “중국인들이 많이 찾는 제주도만 해도 중국인 여행객이 여행 경비로 쇼핑보다 숙박·식사·체험 등에 더 많이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로컬 체험 상품을 반영하려고 한다”고 언급했다.

최근 제주도가 중국 선양 마라톤운동협회와 공동으로 중국에서 ‘제주 컬러 런 단축 마라톤 대회’를 연 것도 이 때문이다. 마라톤 코스를 제주 풍경으로 조성함으로써 마라톤 동호회 회원에게 제주에서 달리는 듯한 느낌을 주고 제주 관광을 유도하기 위해서다. 자유여행 e커머스 플랫폼의 한 관계자도 “요즘에는 원데이 체험 클래스조차 단체로 하는 것보다 1대1 아니면 소규모로 진행하는 쪽을 선호한다”며 “좀 더 소규모로 체험할 수 있는 상품을 기획해 판매하려고 한다”고 귀띔했다.

정부에서도 중화권을 방한 제1시장으로 다시 회복하기 위해 개별 관광객 유치가 필수적이라는 데 공감하고 있다. 2019년만 해도 중국·대만·홍콩을 합한 방한 관광객은 전체의 45%가량을 차지했다. 올해는 9월 누적 기준 29%로 크게 줄었다. 이에 한국관광공사는 씨트립·칭화이에 이어 연내 중국계 다른 OTA에 한국상품관을 개설해 한국을 홍보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판 배달의민족인 ‘메이퇀’에 한국 여행을 위한 콘텐츠를 강화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이번 기회에 싼커를 겨냥해 고부가가치를 낼 관광 상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규완 경희대 호텔관광대 교수는 “유커는 정해진 가격에 따라 여행하는 반면 싼커는 여행 지출의 범위가 넓다”며 “숙박·교통 등에서 고부가가치를 낼 상품이 단기간에 나오기는 어렵지만 정부와 업계가 고민해야 할 때”라고 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