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대중 AI칩 규제에…엔비디아 매출 50억弗 증발

지난달 A800 등 제재 즉시 발효

바이트댄스·바이두 등 납품 무산

주가 장중 4.6%↓…AMD도 타격


미국의 새로운 대(對)중국 수출 제재로 엔비디아가 50억 달러(약 6조 8000억 원)에 달하는 손해를 입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반도체 업계 최초로 시가총액 1조 달러를 돌파했던 엔비디아 주가는 정점 대비 20%가량 하락해 1조 달러 수성이 위태로워졌다.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개발을 원천 차단하려는 미국의 압박에 엔비디아·AMD 등 AI 칩 개발사의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이 중국에 대한 반도체 수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미국이 중국에 대한 반도체 수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10월 31일(현지 시간) 월스트리스저널(WSJ)은 미국의 대중 추가 제재로 엔비디아 매출 50억 달러가 증발했다고 보도했다. WSJ는 “엔비디아가 알리바바그룹, 바이트댄스(틱톡), 바이두 등 중국 정보기술(IT) 기업에 수주한 2024년 매출이 50억 달러에 이른다”며 “새 규제 발효 전 미리 납품하려 했으나 규제가 즉시 적용돼 실패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미국 상무부는 10월 17일 엔비디아 A800과 H800 등 저성능 AI 칩셋의 대중 판매를 금지하는 새 규제를 내놓았다. 당초 새 규제 적용 시점은 한 달 후인 11월 중순으로 알려졌으나 실제로는 10월 23일부터 발동됐다. 수주한 반도체를 미리 선적시킬 시간조차 확보하지 못한 것이다. 이 같은 소식에 뉴욕 증시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장중 4.6%까지 폭락했다.

새 규제는 엔비디아의 경쟁사인 AMD에도 타격을 주고 있다. 이날 AMD는 3분기 매출이 58억 달러, 주당순이익은 0.7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월가의 전망치를 상회하는 호실적이지만 시간외거래에서 AMD 주가는 4% 이상 하락했다. 서버와 AI 칩 실적을 포함하는 데이터센터 부문의 매출이 1년 전과 같은 16억 달러에 머문 탓이다. 새로운 제재의 여파에 4분기 매출도 시장의 기대에 못 미친 58억~64억 달러로 제시됐다.


윤민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