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아프리카 첫 노벨문학상’ 소잉카 “SNS도 쉬운 글쓰기에 장점…읽고 시작하라”

‘샤르자국제도서전’서 현지 학생들 대상 특별강연

나이지리아 출신 소잉카 작가가 샤르자국제도서전에서 강연하고 있다.나이지리아 출신 소잉카 작가가 샤르자국제도서전에서 강연하고 있다.




지난 1일(현지시간)부터 아랍에미리트(UAE)의 토후국 샤르자에서 진행 중인 ‘샤르자국제도서전’에는 109개국이 참가했다고 하지만 개최 지역 성격상 중동 아랍권과 아프리카 지역 출신자들이 많다.



아프리카 출신으로 1986년 처음 노벨 문학상을 받은 나아지리아 작가 월레 소잉카(89·사진)도 그런 경우다. 2일 오전 행사장에는 학생들이 동원된 듯 북적였는데 백발이 성성한 소잉카가 가장 관심받은 작가 중에 하나였다. 강연의 제목도 ‘학생들 소잉카를 만나다’(Students Meet Wole Soyinka)였다.

소잉카가 작가가 된 것은 중산층 부모를 둔 혜택이 없지 않았던 듯하다. “처음부터 글을 좋아 했던 것은 아니에요. 놀고 싶어 누나들을 따라다녔지만 놀아주지 않았죠. 아버지 방으로 들어가 책을 읽었어요. 교사였던 아버지는 책이 많았죠. 결국 그렇게 된 거에요.”

책을 읽고 나면 누구나 그러듯이 자신을 글을 써보는 것이 수순이다. “읽다가 원래 이야기를 조금 변혁시켰죠. 정말 재미있고 즐거웠습니다. ”



결론적으로는 독서의 중요성에 대해 이어졌다. “매체와 관계없이 아무것이나 열심히 읽어야 해요. 그리고 기다리지 말고 무조건 쓰기 시작해야 해요. 자신감을 가지고 계속 써 내려가야 합니다.”

관련기사



혹시 무시당하거나 거절당할 수 있어도 상관없다는 것이다. 글쓰기는 시작이 중요하다는 의미다. “학식이 쌓일 때까지, 성인이 될 때까지 기다리지 마세요. 학교에 저널들이 많잖아요. 열심히 쓰세요. 주눅 들지 말고, 계속 읽고 쓰다 보면 어느 순간 작가가 돼 있을 겁니다. 저처럼요. 창의성은 일종의 습관과 관련이 있습니다. 꾸준함입니다. 그리고 호기심을 느껴야 합니다.”

그러면서 당부했다. “다만 여러분이 만들어가는 문장과 스타일, 스토리에 맞는 단어와 표현을 고르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중동지역이나 아프리카의 아이들도 스마트폰으로 SNS하는데 익숙하다고 한다. 그러는 과정에서 책과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이 이 지역 ‘어른’들의 마찬가지 고민이라고 한다. 그래도 소잉카는 긍정적으로 봤다. “소셜미디어는 편견을 증폭시키고 선입견을 조장하기도 하죠. 그러나 나름의 장점도 있습니다. 글쓰기와 관련해선 쉽고 새로운 창조성과 내러티브도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강연에서 처음 그의 얼굴을 봤을 때 어디서 본 듯하다고 생각했다. 아니나 다를까. 배우 모건 프리먼 등과 비슷하다고 잘못 알고 접근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고 한다. 소잉카는 “프리먼인 줄 알고 사인해 달라는 요청이 많아요. 그때마다 ‘또 시작이군’(Not again)이라 생각하죠.”

그는 “프리먼이 나의 정체성을 앗아 갔어요”라며 웃었다. 그러면서 자신을 닮은 이로 프리먼과 함께 코피 아난 전 유엔 사무총장, 복싱 프로모터 돈 킹을 꼽기도 했다.

글·사진(샤르자)=최수문 기자


최수문기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