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담배 피면 암 치료 더 어려워져"

캐나다 연구팀 "흡연은 항암 단백질 생성 막아"

과학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게재

흡연이 인체의 항암 단백질 생성을 막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합뉴스흡연이 인체의 항암 단백질 생성을 막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합뉴스




흡연이 체내에서 DNA 돌연변이를 일으켜 항암 단백질 생성을 막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온타리오 암연구소(OICR) 쥐리 레이먼드 교수팀은 4일 과학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이런 연구 결과를 게재했다.



연구팀은 18가지 암 유형의 종양 샘플 1만2천여 개에서 추출한 DNA를 분석해 항암 단백질 생성을 막는 돌연변이와 흡연 간 연관성을 확인했다. 흡연이 특정 단백질이 완전히 생성되는 것을 막는 '스톱-게인 돌연변이(SGM)’를 일으키고. 이런 돌연변이가 비정상적인 세포의 성장을 막는 단백질 유전자에 특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강력한 컴퓨터 분석 도구를 사용해 18가지 암 유형의 종양 샘플 1만2천341개에서 추출한 DNA를 분석해 단백질 유전정보에서 염기 하나가 바뀌는 단일염기치환(SBS)을 확인하고, 이에 흡연량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분석 결과 폐암에서 나타나는 스톱-게인 돌연변이와 흡연이 일으키는 단일염기치환 사이에 강력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센스 돌연변이'로도 불리는 스톱-게인 돌연변이는 정상적인 아미노산 생성 정보가 담긴 염기서열에서 염기 하나가 변해 단백질 정보 번역을 종료시키는 명령(TAG, TAA, TGA)으로 바뀌는 돌연변이다.

또 이런 유해한 돌연변이는 흡연량이 많을수록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암을 더 복잡하고 치료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