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취임 1년 이주호 "교육부, 모든 관점 연결하는 플랫폼으로 거듭"

교육부 기자단에 취임 1주년 메시지

"성공적 교육개혁 위해 국민 신뢰하는 파트너로"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6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열린 제7차 부총리-현장교원과의 대화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6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열린 제7차 부총리-현장교원과의 대화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성공적인 교육 개혁을 위해 교육부는 모두의 관점을 새롭게 연결하는 정책 플랫폼이자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부총리는 7일 취임 1주년을 맞아 교육부 기자단에 보낸 메시지를 통해 이같이 강조했다.



이 부총리는 “10여 년 전 한국 교육은 당시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국가 발전에 기여한 한국 교사를 ‘국가 건설자(Nation Builder)’로 칭하며 찬사를 보낼 정도로 전 세계적인 우수 사례로 칭송받았다”며 “하지만 최근 학교폭력 및 사교육 증가, 교권 추락은 아이들과 부모님, 선생님의 고통을 더하고 있으며 인구감소와 지역소멸 등은 우리 사회를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 교육은 이러한 시대적 고충과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 부총리는 현 정부가 올해를 교육개혁 원년으로 삼고 교육 회복을 위해 달려왔다며 “지난 1년 동안 국가책임 교육·돌봄, 디지털기반 교육혁신, 과감한 대학개혁 등 3대 정책을 추진하는 동시에 교권 회복, 학교폭력 근절, 사교육 카르텔 혁파 등 현안에 대응하며 여러 변화를 이뤄냈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교권보호 4법 및 학교폭력예방법 등 개정 △2028학년도 대학입시제도 개편 시안 발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추진 △국립대 사무국장 제도 개선 등 교육부의 자성적 개혁도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부총리는 “올해는 '교육 회복과 대전환'의 담대한 개혁 물줄기가 제자리를 잡은 중요한 해였다고 생각한다”며 “이제부터는 개혁의 흐름이 본격적으로 현장에 스며드는 시기로, 학교와 대학은 자율과 창의에 기반한 교육전문조직으로 도약하게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아울러 “정부는 문제해결의 걸림돌을 찾아 없애고 필요한 도움을 드릴 것”이라며 “‘함께 학교’ 캠페인, 매주 진행하는 현장교원-장관과의 대화 등을 통해 국민과 소통하며 호흡하고, 지역사회와 함께 교육발전특구와 RISE, 글로컬대학 30 프로젝트 등을 추진하여 지방시대를 교육의 힘으로 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신중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