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이제는 필수인 '새벽배송'…중소도시 소비자 84% "우리도 이용하고 싶다"

집 근처 대형마트서 '새벽배송 제공하면 이용' 89%…"마트 규제 합리화 나서야"

사진=이미지투데이사진=이미지투데이




물류 속도전이 가속화하는 가운데 인구가 적어 새벽배송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중소도시의 소비자들도 상당수 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대형마트의 영업제한 시간 온라인 배송 제한을 해제해, 소비자들을 위한 새벽배송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중소 도시나 도서 지역에 사는 인구 10명 중 8명 이상(84%)이 새벽배송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7일 밝혔다. 이는 최근 6개월 내 온라인 장보기 경험이 있는 만 20∼59세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새벽배송은 전날 오후 10시부터 자정 전까지 주문하면 다음날 오전 7시 전까지 상품을 배송하는 온라인 쇼핑 서비스다. 지금은 전용 물류센터 구축과 배송 효율성을 고려해 인구가 집중된 수도권과 6개 광역시(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 및 인근 일부 지역에서만 제공된다.

사진=대한상공회의소사진=대한상공회의소



조사 대상 중 절반인 500명은 새벽배송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지역 거주자로, 이들의 84%는 새벽배송 서비스가 제공되면 이용할 생각이 있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서비스 이용 이유는 장보기 편리(44.3%), 긴급 시 유용함(34.0%), 이용 선택 폭 확대(15.0%), 대도시와 같은 높은 생활수준 향유(6.7%) 등의 순이었다.

새벽배송 이용자들의 월평균 이용 횟수는 4.4회로 나타났다.

주된 이용 이유(복수응답)로는 밤늦게 주문해도 아침 일찍 수령 가능(77.6%), 장 보는 번거로움 감소(57.6%), 장 보는 시간 절약(57.6%), 약속된 시간에 정확하게 배달(33.2%) 등이 꼽혔다.

새벽배송을 통한 주요 구매 품목은 신선식품이 81.4%로 가장 많았고 이어 가공·냉장·냉동식품(75.4%), 간편식·밀키트(49.6%), 음료(36.0%), 곡류(15.4%), 건강기능식품(9.6%), 생활용품(0.6%) 등의 순이었다.

특히 조사 대상자의 88.8%는 집 근처에 있는 대형마트 점포를 활용해 새벽배송이 제공되면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이나 영업제한시간(자정∼오전 10시)에 대형마트 점포를 통한 상품 배송을 허용하는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에는 67.6%가 찬성 입장을 냈다.

장근무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온라인 쇼핑이 급성장한 상황에서 의무휴업일 등 오프라인 규제를 적용받는 대형마트가 온라인 영업마저 제한받는 것은 불합리하다"며 "온라인과 공정한 경쟁이 이루어지고, 새벽배송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지역의 소비자들도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국회 계류 중인 관련법이 조속히 통과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황수민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