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정신병동에도 아침은 올까…"누구나 힘들때 있어…희망 잃지말고 버텨주길"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다은' 役 박보영]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 인식 계기

우울증 연기 위해 물 안마시기도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은 높고 단단하다. 나와는 무관한 존재라고 치부한 채 색안경을 쓰기 일쑤다. 지난 3일 공개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는 정신병동에서 펼쳐지는 환자들과 의료진의 이야기를 담아낸 드라마다. 3년차 내과 간호사였던 ‘다은(박보영 분)’이 정신병동 간호사가 되어 바라본 환자들의 모습도 생경하다. 다은은 무사히 정신병동에서 적응을 끝낼 수 있을까.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스틸컷. 사진 제공=넷플릭스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스틸컷. 사진 제공=넷플릭스




정신병동에는 커튼이 없어 병원에서 가장 먼저 아침이 온다는 수간호사(이정은 분)의 말대로 화사한 빛이 가득 담긴 화면을 통해 환자들의 각양각색의 사연을 비춘다. 처음부터 환자들이 정신질환을 앓게 된 것은 아니다. 다은이 정신병동에 온 후 가장 먼저 만난 환자 ‘오리나(정운선 분)’는 엄마의 지나친 애정으로 인해 조울증 증상이 나타나게 됐다. 발가벗고 춤을 추고, 망상을 부정하자 다은의 뺨을 때리는 등 과격한 행동을 일삼지만 원래 오리나의 성격은 차분했다. 엄마에게 삶의 주도권을 빼앗기면서 속으로 곪다 못해 조울증 증상을 겪게 됐을 뿐이다.

배우 박보영. 사진 제공=넷플릭스배우 박보영. 사진 제공=넷플릭스



다은의 주변 인물들도 마음의 병을 갖고 있다. 다은의 소꿉친구인 ‘유찬(장동윤 분)’은 과도한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가 쌓여 공황장애에 시달린다. 작품은 유찬에게 물이 쏟아지는 연출을 통해 공황장애의 증상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이외에도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한 사회공포증, 워킹맘의 우울증, 취업 실패로 인한 망상 등 일상적인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담하게 전개된다. 환자들과 함께 다은이 능숙한 간호사가 되어 갈수록 시청자도 편견의 벽을 무너뜨리게 된다.

관련기사



최근 서울 안국동 한 카페에서 만난 배우 박보영(33)은 “저 스스로도 정신질환에 편견이 있었다고 느꼈다”면서 “수간호사 대사에서 ‘정신질환은 누구에게나 올 수 있는 병’이라고 하는데, 그 대사를 통해 정신질환을 다르게 볼 수 있었다. 우리부터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자는 드라마의 말대로 저도 그런 마음을 갖게 됐던 것 같다”이라고 말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스틸컷. 사진 제공=넷플릭스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스틸컷. 사진 제공=넷플릭스


배우 박보영. 사진 제공=넷플릭스배우 박보영. 사진 제공=넷플릭스


작품 속에서 환자들을 치료하던 다은도 결국 심각한 우울증을 겪는다. 박보영은 “살면서 마음이 힘들 때가 누구에게나 있어서 감정을 증폭해보려 했다”면서 “힘들 때면 목소리가 생기 없어진다고 생각해 물을 마시지 않고 입으로 숨을 쉬었다”고 말했다. 밝은 모습부터 무력한 모습까지 그가 연기하는 다은의 감정은 폭이 넓고 까다롭다. “촬영하면서 공들이지 않았던 때가 없었다”고 웃던 박보영은 “제목처럼 희망을 그리는 드라마다. 아침이 언젠가는 오니까 지난한 시간을 보내고 계시더라도 ‘뻔한 희망’을 위해 버텨주셨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