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데이트 통장,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이유 따져 물은 공무원

jtbc 방송화면 캡처jtbc 방송화면 캡처




최근 이탈리아 출신 방송인 알베르토 몬디가 “이탈리아라면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선을 그은 ‘데이트 통장’을 놓고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를 묻는 글이 올라와 온라인에서 화제를 모았다. 데이트 통장이란 연인이 만나서 함께 쓸 비용을 각자 모으는 계좌다. 함께 매달 일정 금액을 입금하고 계좌 잔고 범위 안에서 데이트에 필요한 비용을 충당하는 식으로 쓰인다.



15일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데이트통장 안 좋게 생각하는 사람은 이유가 뭔가요’라는 제목으로 글이 게재됐다. 글을 쓴 A씨는 자신의 소속을 공무원으로 표기했다.

A씨는 “데이트통장을 쓰면 서로 절약할 수 있고 매번 눈치 보지 않고 배려할 수 있는 등 장점이 더 많지 않은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데이트통장이 계산적으로 보여서 싫다는 것인가? 데이트통장을 안 써도 ‘다음엔 상대에게 얼마를 써야지’라는 생각이 들면 계산적이다. 이게 더 이상해 보인다”며 “서로 비용 부담도 덜고 ‘윈윈’하는 방향이 아닌가”라고 항변했다.

jtbc 방송화면 캡처jtbc 방송화면 캡처


그러면서 “데이트통장이란 단어만 듣고 (자신을) 넉넉지 못한 남성으로 몰아가는 사람들이 많다”며 “남자친구를 사랑하고 그가 나보다 무리해서 돈을 쓰는 게 미안하다. 함께 과소비를 지양하자는 의미에서 데이트통장을 제안하려 하는데 온라인상에서는 부정적인 여론이 많길래 왜 부정적인지 궁금하다”고 물었다.



물론 연인 사이에 직접적으로 현금이 오가는 데서 데이트 통장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이들도 많다. 이 글을 접한 네티즌은 “부부가 아닌 이상 언젠가 헤어질 수도 있는 사이인데 금전적으로 공유하는 통장을 만든다는 게 꺼림칙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또 다른 네티즌은 “주로 데이트 통장을 쓰자고 제안하는 사람들은 적은 금액에도 민감하고 돈을 쓰는 데 인색했다”고 주장했다. 그런가 하면 다른 네티즌은 “서로 배려하면서 데이트하면 될 일이지, 그렇게 계산적으로 연애하는 게 맞나 싶다”고 했다.

반면 데이트 통장을 이용하면 과소비를 막아 서로에게 금전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선호하는 이들 역시 적지 않다. 또 생일이나 기념일 등을 준비할 때 지출 규모를 제한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jtbc 방송화면 캡처jtbc 방송화면 캡처


한편 지난달 28일 방송된 jtbc 예능 프로그램 ‘아는 형님’에는 데이트 통장과 관련해 다양한 국적의 출연진들이 갑론을박을 펼친 바 있다.

이탈리아 출신 알베르토와 크리스티나 콘팔로니에리는 각각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상상도 못한다”고 손사래를 쳤다. 특히 크리스티나는 “첫 데이트는 원래 남자가 내는 것”이라며 “사귀고 나서 여자도 조금씩 낼 수 있다. 자연스럽게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벨기에 출신 줄리안 퀸타르트 또한 “남자가 내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 우리 아빠가 항상 그렇게 해왔기 때문이다”라고 못 박았다.

인도에서 온 럭키(아비셰크 굽타)는 "인도도 문화는 원래 남자가 내야 한다"며 "(그런데) 인도에서는 데이트 통장을 만드는 게 (힘들다). 결혼할 때 통장이 나온다. 그냥 개인 통장 만들기도 너무 힘들다"고 토로했다.

반면 미국 출신 크리스 존슨만이 “미국은 한국보다 더치페이가 훨씬 많다"며 "그냥 형편 맞게 하거나, 남자가 굳이 내고 싶으면 내면 된다”고 소개했다.

/김태원 기자 revival@sedaily.com


김태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