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수원시 공무원 3명 중 2명은 '특이민원' 시달려

수원시 인권센터 전체 공직자 대상 인원침해 실태조사

폭언, 부적절한 호칭, 반복민원 등에 시달려

수원시청 전경. 사진 제공 = 수원시수원시청 전경. 사진 제공 = 수원시




#. 공무원 A씨는 전화로 민원인을 응대하던 중 “원하는 대답을 하지 않으면 흉기를 들고 찾아가 죽이겠다”는 협박을 받았다.



#. 공무원 B씨는 “돈을 빌려 달라”는 요구를 거절하자 “뒤져서 나오면 어떻게 할 것이냐”며 주먹으로 민원대를 내리치는 민원인에 시달렸다.

수원시 공직자 3명 중 2명은 이처럼 ‘특이민원’으로 인한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시 인권센터가 전체 공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해 17일 발표한 ‘2023년 공직자 인권침해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6.9%가 “특이민원 피해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구체적인 피해 내용(복수 응답)은 ‘폭언’이 60.7%로 가장 많았고, ‘부적절한 호칭’(48.5%), 반복 민원(43.2%)이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인권침해 피해 경험이 있는 공직자(3.22)는 피해 경험이 없는 공직자(3.65)보다 직무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5점 만점).

이번 실태조사에서는 직장 내 인권침해 실태도 파악했다. 응답자의 56.1%가 “수원시의 인권보장 수준이 높다”고 평가했다(매우 높음 29.8%, 높음 26.3%). 직장 내 갑질 피해 경험이 있는 공직자는 30.4%, 성희롱·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7.4%였다.

갑질은 ‘부당한 업무지시’(23.8%), ‘비인격적 행위’(22.7%) 순이었고, 성희롱·성폭력 피해는 ‘언어적 성희롱’이 많았다.

지난 8월 28일부터 한 달간 대면(30%)·비대면(70%) 병행 방식으로 이뤄진 이번 설문조사에는 전체 공직자(3937명)의 78%인 3072명이 참여했다. 조사 내용은 특이민원, 직장 내 갑질, 직장 내 성희롱·성폭력 등 ‘지난 3년간(2021~2023) 경험한 인권 침해’였다.

수원시 관계자는 “일부 특이민원으로 인해 고충을 호소하는 공무원이 많다”며 “이번 조사를 계기로 공직자의 인권침해 문제를 조직의 문제로 인식하고 더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수원=손대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