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모든 지역구, 전략공천 원천 배제…대통령실 인사도 예외 없어"

■與 혁신위 '4호 혁신안' 공개

중진 불출마 지역구 '낙하산' 방지

상향식 공천으로 '공정경쟁' 유도

사회적 물의·전과자 컷오프 제안

김기현·인요한 42분간 단독면담

핵심쟁점 '주류 용퇴론' 논의 안해

김무성 "친윤, 당 위해 희생해야"

김기현(왼쪽) 국민의힘 대표와 인요한 혁신위원장이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면담하고 있다. 오승현 기자김기현(왼쪽) 국민의힘 대표와 인요한 혁신위원장이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면담하고 있다. 오승현 기자




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17일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전 지역구 전략공천 원천 배제’를 골자로 한 혁신안을 당에 제안했다. 당 지도부 및 영남권 중진들이 당을 위한 ‘희생’ 차원에서 수도권 험지로 출마하거나 불출마를 선언할 경우 그들이 자리를 비워준 기존 지역구에 공정한 예비 후보 경선 없이 특정 후보가 내년도 총선용으로 ‘낙하산 공천’되지 않도록 사실상의 보완 장치를 요구한 것이다.

혁신위는 이날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8차 회의를 갖고 △상향식 공천을 통한 공정한 경쟁 △엄격한 컷오프(공천 배제) 등 두 가지 안이 담긴 ‘4호 혁신안’을 당에 요구했다. 상향식 공천은 당원과 국민이 참여하는 경선을 통해 후보자를 정하는 방식이다. 이에 대해 이소희 혁신위원은 브리핑에서 “대통령실 출신 인사도 (상향식 공천 적용에는) 예외가 없다”며 “모든 지역구에서 전략공천을 원천 배제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상향식 공천 방식은 유권자들에게 생소한 신인 정치인보다는 인지도가 높은 중진 정치인들에게 유리하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이에 대해 김경진 혁신위원은 “그래서 (영남권 등의 중진 의원들에 대해서는 기존의 본인 지역구에 재출마하지 말고 험지로 도전하거나 불출마하는 방식으로) 희생해달라고 부탁드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대통령실에서 (참모로 근무하다가 총선 출마를 위해 참모직을 그만두고 희망 지역구로) 내려오는 분들은 중진은 아니라도 (전략공천의) 특권을 누릴 수 있기에 상향식 공천 방식을 천명한 것”이라고 답했다.

관련기사



다만 혁신위는 전략공천 원천 배제 대상에 일부 예외를 뒀다. 바로 ‘청년전략지역구’다. 이는 여당 후보의 당선이 유력한 지역구 중 몇 곳을 정해 만 45세 미만의 청년들 간 경쟁을 거쳐 후보를 선출하도록 하는 방안인데 앞서 혁신위가 발표했던 3호 혁신안에 담겼다. 혁신위는 청년전략지역구에 대한 전략공천 후보를 고르기 위한 청년의 가산점 부여, 당원 투표 및 국민 여론조사 반영 비율 등의 구체적 경선 룰에 대해서는 향후 출범할 당의 공천관리위원회에서 결정하도록 할 방침이다.

혁신위는 이날 또 다른 혁신안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사람, 당의 명예를 실추시킨 사람, 금고 이상의 확정판결을 받은 전과자는 모두 공천에서 배제해야 한다는 양보 없는 ‘컷오프 기준’을 제안했다.

김무성(오른쪽) 전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대표가 17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국민의힘 혁신위원회 8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인요한 혁신위원장. 연합뉴스김무성(오른쪽) 전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대표가 17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국민의힘 혁신위원회 8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인요한 혁신위원장. 연합뉴스


이날 혁신위 회의에 앞서 김기현 당 대표와 인요한 혁신위원장은 당사에서 42분간 ‘단독 면담’을 진행했다. 김 대표는 인 위원장에게 “앞으로도 혁신위가 가감 없는 의견과 아이디어를 제시해달라”고 당부했고 인 위원장은 “당과 우리 정치의 한 단계 발전을 위해 당의 고통스러운 쓴소리라도 혁신적으로 계속 건의드리겠다”고 답했다. 다만 핵심 쟁점이던 당 주류 용퇴론이나 당 혁신에 대한 윤석열 대통령의 의중 등에 대한 이야기는 오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여당 원로로 혁신위 회의에 참여한 김무성 전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대표는 친윤을 겨냥해 “대통령·권력자 주변에서 그 권력을 독점하고 향유한 사람들이 몸을 던져야 한다. 당을 위해서 희생해야 한다”며 인 위원장에게 힘을 실어줬다.

한편 국민의힘 인재영입위원회는 이날 첫 회의를 열고 홈페이지 개설(20일) 및 국민추천제를 통해 인재 영입을 추진하겠다는 내용을 논의했다.


이진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