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수원, 혁신형 SMR 기본설계 성과 점검…표준설계 내년 본격 착수

혁신형SMR사업단과 한수원이 16~17일 대전 오노마 호텔에서 혁신형 SMR 워크숍 및 설계성과 발표회를 개최했다. 사진=한수원 제공혁신형SMR사업단과 한수원이 16~17일 대전 오노마 호텔에서 혁신형 SMR 워크숍 및 설계성과 발표회를 개최했다. 사진=한수원 제공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술개발사업단과 한국수력원자력이 혁신형 SMR의 기본설계 성과를 점검하고 표준설계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정책 수립에 나서기로 했다.



17일 한수원은 지난 16일부터 이틀 간 대전 오노마 호텔에서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SMR)’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에는 학계와 연구계 등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해 혁신형 SMR 사업운영 계획과 기술개발 방향 등을 논의했다.

관련기사



워크숍에서 이정익 한국과학기술원 교수는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는 석탄화력 대체 기술 개발과 신재생 에너지와 상생할 수 있는 탄력운전 능력’, 노동석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원전소통지원센터장은 ‘미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객관적 사실에 입각한 투명하고 지속적인 쌍방향 소통’, 심형진 서울대학교 교수는 ‘높은 안전성 및 유연성과 함께 경제성을 겸비한 SMR개발’이 혁신형 SMR의 성공을 위한 필수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전문가들은 최근 미국 SMR 사업자인 뉴스케일과 유타지방전력협회(UAMPS)가 VOYGR(뉴스케일460) 원전 건설계획을 중단하기로 합의한 것을 두고 “초기 사업화 과정에서 여러 사업 비즈니스 모델 중 하나가 다른 모델로 사업 전환이 이뤄지는 과도기적인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또 “무탄소 전력원이며 전력수요에 따른 탄력운전 능력이 우수한 SMR이 필수적인 것은 변함 없다”며 “이 상황을 기회로 만들기 위해 경쟁 노형과의 기술개발 격차를 줄이고, 철저한 계획과 준비를 통해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에 매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수원은 지난 2021년부터 국내 산학연의 여러 기관과 협력해 혁신형 SMR의 개념설계와 기본설계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부처 공동으로 혁신형 SMR 기술개발사업을 기획하고 2022년 6월 예비타당성 심사를 완료했다. 지난 2월에는 사업을 총괄하는 혁신형SMR사업단을 설립해 기술 개발에 나섰다.

한수원이 주도하는 기본설계 연구는 올해 말 완료될 예정이다. 내년부터는 혁신형SMR사업단 주관으로 정부 기술개발사업에서 추진하는 표준설계 개발 및 인허가 취득 업무가 본격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세종=박신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