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국세청 'K술' 해외판로 개척 앞장

대형 주류사 마케팅 등 지원

중기 9곳 19개 제품 수출 성과

김창기(왼쪽) 국세청장이 2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1회 주류 정책 세미나’에서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김창기(왼쪽) 국세청장이 2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1회 주류 정책 세미나’에서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우리 전통주가 대기업 주류사의 인프라를 통해 해외로 수출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국세청은 전통주의 지속 가능한 수출을 위해 대형 주류사와 손잡고 홍보·마케팅 지원에 나서는 한편 우리 술 브랜드 공모전을 통해 해외 인지도도 높여가기로 했다.



국세청은 20일 하이트진로와 오비맥주 등 대형 주류사의 수출망을 활용한 전통주 수출을 시도해 9개 업체, 19개 제품 수출을 성사시켰다고 밝혔다. 국세청은 우수 제품을 만들고도 인프라의 한계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는 국내 전통주 및 소규모 주류 업체들을 지원해 미국·중국·뉴질랜드 등에 수출하는 성과를 거뒀다. 대상 제품은 장수오미자주·금산인삼주·필25·추사애플와인·국화주·선운산복분자 등이다.

관련기사



수출 지원 시스템도 구축했다. 국세청과 대형 주류사 간 수출 지원 업무협약(MOU)을 맺어 전통주 홍보 및 컬래버레이션 마케팅을 지원하고 국민 공모를 통해 선정한 우리 술 브랜드(K-SUUL)를 수출 주류 라벨로 활용해 우리 술의 해외 인지도를 높일 계획이다. 수출 계획 전 해외 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22개국 시장 정보와 주류 규제 등을 집대성한 ‘우리 술 수출 A~Z까지’도 발간해 제공했으며 국세청 및 주류면허센터 홈페이지에 ‘K-SUUL’ 코너도 개설했다. 이 밖에 국내 주류 업계 관계자, 주류 제조·정책·마케팅 전문가가 한데 모인 가운데 K-SUUL 정책 세미나를 개최하고 수출을 희망하는 전통주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주류 수출 실무 교육도 실시했다.

국세청은 앞으로 기획재정부와 협의해 전통주 주세 신고 간소화, 향료 첨가 시 막걸리 세 부담 증가 개선 등에 나설 계획이다. 아울러 국산 주류의 기준판매비율제도 도입에도 나설 예정이다. 김창기 국세청장은 “지금까지는 규제 중심의 행정에 치중했다면 이제는 국민 건강과 함께 우리 술의 경쟁력 강화에 방점을 찍어야 할 때”라며 “우리 술에도 한류가 불어 어려운 무역 상황에 도움이 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세종=우영탁 기자 tak@sedaily.com, 세종=심우일 기자 vita@sedaily.com


세종=우영탁 기자·세종=심우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