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오세훈 "모든 지자체 아우르는 서울시 편입 통합연구반 운영"

이동환 고양시장 "16만명이 서울로 통근·통학"

서울-고양 공동연구반 꾸려 객관적·과학적 분석

오세훈 서울시장과 이동환 고양시장이 21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열린 조찬 겸 '메가시티 서울' 논의를 위한 회동에 참석해 인사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오세훈 서울시장과 이동환 고양시장이 21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열린 조찬 겸 '메가시티 서울' 논의를 위한 회동에 참석해 인사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21일 “김포, 구리, 고양 등 관련 지자체와 서울시가 모두 참여하는 ‘서울시 편입 통합연구반(가칭)’을 별도 구성해 연구를 종합적으로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오 시장은 이날 서울시청에서 이동환 고양시장을 만나 서울 편입에 대한 고양시의 공식 입장을 듣고 이 같이 말했다. 오 시장은 “서울과 고양시도 공동연구반을 꾸려 객관적·과학적인 분석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양 도시 시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개별 지자체와의 ‘공동연구반’ 운영을 통해 양 지자체의 행정·재정·조직 등 기초 현황과 편입 관련 문제점 및 장애요인 등에 대한 심층 분석을 진행할 방침이다. 아울러 관련된 모든 지자체를 아우르는 ‘통합연구반’을 운영해 개별적으로 분석한 문제점에 대한 종합적인 해결방안 등을 큰 틀에서 논의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 시장은 이날 “메가시티 논의를 ‘수도권 재편’으로 규정,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는 큰 틀에서 정부를 포함한 다자협의체를 통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제안을 서울시 측에 전달했다. 이 시장은 “고양에서 서울로 통근·통학하는 인원은 약 16만 명으로, 서울에 인접한 지자체 중 가장 많을 뿐만 아니라 서울과 6개 자치구를 접한 가까운 이웃 도시”라고 강조했다. 고양시는 수도권 재편에 적극 참여하고, 이를 위해 시민 의견을 폭넓고 진지하게 모아나갈 계획이다.

오 시장의 이번 면담은 김포시장, 구리시장에 이은 세 번째 경기도 지자체장과의 회동으로 고양시는 난지물재생센터, 서울시립승화원 등 서울과 각종 사회기반시설을 공유하고 있는 밀접 자치단체다. 오 시장은 “메가시티 논의는 이해관계가 첨예한 수도권 광역 도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적의 기회”라며 “긴 호흡을 가지고 필요한 연구와 분석을 지속해 나갈 것이며, 지역균형발전과 국가경쟁력 차원에서 정부와 국회에서도 진지한 논의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창영 기자·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