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연평도 포격전 제13주기…해병대, ‘전투영웅 추모 및 전승기념식’ 거행

해병대사령부는 23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연평도 포격전 제13주기 전투영웅 추모 및 전승기념식을 거행했다. 오른쪽부터 김계환 해병대사령관, 양용모 해군참모총장이 기념식에서 묵념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해병대사령부해병대사령부는 23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연평도 포격전 제13주기 전투영웅 추모 및 전승기념식을 거행했다. 오른쪽부터 김계환 해병대사령관, 양용모 해군참모총장이 기념식에서 묵념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해병대사령부




해병대사령부는 23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연평도 포격전 제13주기 전투영웅 추모 및 전승기념식’을 거행했다.

고(故) 문광욱 일병의 모친 이순희 씨는 추모영상을 시청한 뒤 “영상을 볼 때 아직도 심장이 두근거리고 너무 힘들다. 어떤 이들은 10년도 지난 것, 잊어버리라고 하는데 어떻게 잊어버리겠느냐”며 눈물을 훔쳤다.



고 서정우 하사의 모친 김오복 씨는 추도사에서 “두 장병이 살아있다면 35살, 33살이 되어 결혼도 하고 행복을 누리며 살아갔을 것”이라며 “유족들은 13년간 아들 없는 아픔의 시간을 보내면서도 국가를 원망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오영대 인사기획관이 대독한 기념사를 통해 “그날 우리 해병 전우들은 평소 강한 정신력으로 무장하고 실전과 같은 훈련으로 선승구전(先勝求戰·먼저 이겨놓고 싸운다)의 대비 태세를 갖췄기에 완벽하게 대응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계환 해병대사령관은 13년 전 산화한 해병대원들을 호명하며 “그들을 떠나보내며 우리 해병대는 백배 천배 되갚아 줄 것이라고 결의했고 그날을 뼈에 새겨 기억할 것이라고 다짐했다”며 “영웅들의 고귀한 희생을 영원히 잊지 않겠다”고 했다.

이날 기념식에는 국민의힘 인요한 혁신위원장과 전사자 유가족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북한은 2010년 11월 23일 연평도와 주변 해상에 76.2㎜ 평사포와 122㎜ 방사포 등 포탄 170여 발을 발사했다. 개머리 해안 인근 해안포 기지에서 시작된 포격은 2차례에 걸쳐 1시간이나 계속됐고, 해병대원 2명과 민간인 2명이 목숨을 잃었다. 부상자도 60명이나 발생했다.

해병대는 지난 20일부터 오는 24일까지 닷새를 ‘연평도 포격전 상기 기간’으로 지정해 특별 정신전력 교육, 사이버 추모관 운영, 서북도서부대 상황조치 훈련 등을 실시하고 있다.


이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