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김종암 교수 등 수학자 3명 '최석정상'

과기부, 예종철·김상현 교수 등 선정

산업수학·의료AI·수학대중화 기여


우리나라 수학 연구 발전에 기여한 학자에게 주어지는 ‘최석정상’의 올해 수상자로 김종암 서울대 교수, 예종철 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재철인공지능대학원 교수, 김상현 고등과학원 교수가 선정됐다. 최석정상은 조선시대 정치가이자 학자였던 최석정의 수학적 업적을 기리고자 2021년 신설됐다. 수학, 수학의 활용, 수학 문화 확산에 기여한 과학기술인을 선정해 시상한다. 수상자에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과 상금 100만 원이 주어진다.

2023년 올해의 최석정상 수상자. 김종암(왼쪽부터) 서울대 교수, 예종철 한국과학기술원 김재철인공지능대학원 교수, 김상현 고등과학원 교수. 사진 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3년 올해의 최석정상 수상자. 김종암(왼쪽부터) 서울대 교수, 예종철 한국과학기술원 김재철인공지능대학원 교수, 김상현 고등과학원 교수. 사진 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24일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김종암 교수는 유체역학 계산 분야의 여러 난제에 대해 수치해석을 활용한 폭넓은 연구를 수행해 산업수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특히 수학적 이론과 물리적 모델링에 근거한 효율적 계산 알고리즘을 다수 개발하고 이를 상용화해 국내외 산업수학과 전산유체역학 분야 발전에 공헌했다. 김 교수는 “전산유체역학 분야에서 수학적 이론에 기반한 알고리즘 개발과 활용은 중요한 부분”이라며 “수학의 활용 범위를 넓히고 공학적 한계를 극복하는 데 더욱 정진하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관련기사



예종철 교수는 자기공명영상(MRI) 등에 상용화된 압축센싱이라는 전통적인 인공지능(AI) 기법에서부터 딥러닝 및 확산 모델에 이르는 다양한 최신 AI 기술을 개척하고 의료 분야에 적용했다. 이를 통해 AI 발전과 수학 분야 딥러닝 보급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예 교수는 “심도 있는 연구를 지속해 수학과 공학, 의료를 포함한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공헌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상현 교수는 고등학생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주제에 대한 수학 대중 강연을 약 10년간 지속적으로 진행해왔다. ‘연속체 가설’과 ‘리만 가설’ 등 전문적인 현대 수학의 다양한 주제들을 공중파 방송과 교양서적·칼럼 등을 통해 일반인에게 소개하는 등 국내 수학 문화 확산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됐다. 그는 “모르는 것에 대한 말은 아끼고 잘 아는 것에 대한 이야기는 더욱 솔직하게 나누는 자세로 앞으로도 대중 강연을 통해 많은 사람들과 배움을 나누고 싶다”고 다짐했다.


김윤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