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심야택시 2500대 확대… 버스는 새벽1시까지 운행

[서울시 연말연시 승차난 대책]

강남역·홍대입구역 등 12곳에

택시 승차대·승차지원단 배치

심야 운행 버스 167대로 증차

사진 설명사진 설명




서울시가 연말연시 심야 시간(오후 10시부터 새벽 2시) 택시 2500대를 추가 공급하고 87개 버스 노선의 막차 시간을 새벽 1시까지 연장 운행한다. 개인택시 고령화와 법인택시 기사 감소 등으로 인한 심야 택시 대란을 막기 위한 조치다.



서울시는 11월 말부터 연말까지 시민들의 심야 이동을 신속하게 지원하기 위해 이러한 내용의 ‘승차난 종합대책’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관련기사



먼저 서울시는 택시 업계 및 플랫폼사와 협력해 심야 시간 택시 2500대를 추가 공급(목표 2만 4000대)한다. 또 30일부터 매주 목·금요일 택시 수요가 가장 집중되는 오후 11시 30분부터 익일 오전 1시 30분까지 2시간 동안 승차 대기 발생 예상 지역 12곳에 임시 택시 승차대를 설치한다. 임시 승차대는 강남역(2개소), 홍대입구역(2개소), 종로2가, 건대입구, 상암, 여의도역, 서울역(2개소), 용산역, 수서역에 마련한다. ‘심야승차지원단’ 은 현장에서 택시와 승객을 직접 1대1로 매칭해준다.



버스 관련 대책으로는 다음 달 15일부터 연말까지 서울시 내 이동 수요 밀집 11개 주요 지점을 경유하는 87개 노선의 시내버스 막차 시간을 새벽 1시까지 연장한다. 11개 주요 지점은 홍대입구·강남역·종로2가·영등포·신촌·역삼·여의도·건대입구·서울역·명동·구로역 등이다. 그리고 같은 기간 심야 버스인 올빼미버스 14개 전 노선의 운행 대수를 각 2대씩 한시적으로 증차해 총 167대를 운행한다.

서울시가 이러한 종합대책을 추진한 것은 택시요금 조정에도 불구하고 심야 운행 택시 가동률이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말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법인택시 운전자는 2019년 3만 527명에서 올 10월 현재 2만 157명으로 1만 명이나 줄었다. 서울시는 이러한 택시 업계의 어려움을 타개하고 심야 택시 공급을 늘리기 위해서는 법인택시 리스제 도입과 선취업 후 운전 자격 취득제 도입 등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