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작년 출생아 기대수명 82.7년…코로나로 역대 첫 감소

통계청, 2022년 생명표

2022년 출생아 기대수명 82.7년으로 1년 전보다 0.9년 감소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이 1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2년 생명표 작성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이 1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2년 생명표 작성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지난해 태어난 출생아의 기대수명이 1년 새 0.9년 감소한 82.7세로 나타났다. 기대수명이 줄어든 것은 관련 통계가 집계된 1970년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통계청은 1일 이 같은 내용의 ‘2022년 생명표’를 발표했다. 생명표는 현재의 연령별 사망 수준이 유지된다면 특정 연령의 사람이 몇 살까지 살 수 있는지 기대여명을 추정한 통계표다. 최근 사망신고 자료를 기초로 작성돼 코로나19에 따른 사망자 증가의 영향을 받았다.

관련기사



지난해 출생아(0세)의 기대수명은 82.7년으로 1년 전보다 0.9년 감소했다.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70년 이후 첫 감소다.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2022년 코로나19 사망자가 굉장히 많았고 사망 원인 중에서도 3위에 해당했다”며 “이로 인해 출생아의 기대수명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남자가 79.9년, 여자가 85.6년으로 1년 전보다 각각 0.8년, 1.0년 감소했다. 남녀 간의 기대수명 격차는 5.8년으로 0.2년 줄었다. 통계 작성이 시작된 후 역대 가장 적은 것이다.

남녀 모두 전 연령층에서 1년 전보다 기대여명이 감소했다. 지난해 60세 남자는 22.8년, 여자는 27.4년 더 생존할 것으로 예상됐는데 2021년보다 각각 0.7년과 1.0년 더 낮아졌다. 지난해 출생아가 특정 연령까지 생존할 확률은 전 연령대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높았다. 출생아가 향후 80세까지 생존할 확률은 남자가 61.1%, 여자가 80.2%였다. 100세까지 생존할 확률은 남자가 0.7%, 여자가 3.1%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과 비교해보면 한국 남자의 기대수명은 1.9년, 여자는 2.4년 더 높았다.

지난해 출생아가 암(악성 신생물)으로 사망할 확률은 18.1%였다. 사망 원인 중 가장 높은 확률이다. 심장 질환(9.5%)과 코로나19(9.4%)가 그 뒤를 이었다. 코로나19가 없었다면 출생아의 기대수명은 1.0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세종=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