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보험

역대급 실적 보험업계, 상생 압박에 車보험료 내리나

53개社 3분기 누적 순익 11.4조

보험료 인하·사회기금 조성 검토

손해율 높은 실손보험 조정 '난색'





금융감독원이 4일 국내 53개 보험사들의 올해 3분기 누적 순이익이 11조 4225억 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22개 생명보험사의 당기순이익은 4조 399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4%(1조 4556억 원) 늘었고 31개 손해보험사의 순이익도 전년 동기보다 45.8%(2조 2057억 원) 불어난 7조 232억 원을 기록했다.




보험사들의 이익이 급증한 만큼 금융 당국의 상생 금융 압박은 더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조만간 김주현 금융위원장 및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보험사 최고경영자(CEO) 간담회가 열린 후 조율을 거쳐 최종 상생 방안이 마련될 것으로 전망된다. 손해보험사들의 경우 자동차보험료 인하는 거의 확정적인 것으로 전해진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양호한 데다 가입자가 많아 혜택이 골고루 돌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2% 정도의 보험료 인하와 함께 1000억 원의 사회공헌기금 조성이 검토되고 있다.

관련기사



연간 자동차보험료가 20조 원 규모인 것을 고려하면 4000억 원가량 인하되지만 개별 가입자 입장에서는 보험료가 1만 원 남짓 낮아지는 것이어서 체감 정도는 미미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손보 업계에서는 실손보험료 인하로 상생 요구가 확대될 것을 염려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3세대 실손보험의 손해율은 156.6%로 지난해보다 25.2%포인트나 급등하며 적자가 심화되고 있는데 실손보험료를 인하하면 타격이 커진다.

생보 업계의 경우 약관대출 금리 인하와 저축보험 환급률 인상, 청년이나 취약층 대상 상생 맞춤형 상품 출시 등이 거론된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순이익이 증가했다고 해도 보험사가 실제 벌어들인 돈이라기보다는 회계 제도가 변경된 영향이 크다”며 “하지만 겉으로 보이는 실적이 좋으니 소극적으로 대응할 수도 없어 고민”이라고 말했다.


박성호 기자·조윤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