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새벽에 울린 ‘지진 재난문자’…뜬금없이 ‘이곳’ 발칵 뒤집힌 이유

사지 제공 = 이미지투데이사지 제공 = 이미지투데이




지난달 30일 경북 경주에서 발생한 규모 4.0 지진을 알린 '재난 문자' 때문에 군 장병들 사이에서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

최근 군 관련 페이스북 '군대 대나무숲'에서 제보자 A씨는 "재난 문자 때문에 남자친구랑 같은 생활관 쓰는 몇 명이 '투폰' 사실을 걸렸다"며 "이 때문에 생활관 전체 인원 모두 2주간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당했다고 한다"고 하소연의 글이 올라왔다.



투폰은 한 사람이 휴대전화를 2대 쓰는 것을 말한다. 휴대전화 사용이 제한적인 학교나 군부대 등에서 기기 2대를 반입한 뒤 공기계를 제출하고, 실제 사용하는 휴대전화는 몰래 가지고 다니는 방식이다.

관련기사



A씨는 "투폰을 쓰지 않은 사람은 휴대전화를 돌려줘야 하는 게 아니냐"며 "왜 다 같이 책임을 져야 하는 건지 억울하다"고 말했다.

분대장 병사라고 밝힌 B씨도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분대원 중 한 명이 휴대전화를 만지다 들켜서 내 휴가도 잘렸다"고 토로했다.

또 "새벽에 생활관이 난리가 났다. 지진 재난 문자 때문에 휴대전화 안 낸 사람들 다 걸렸다"는 내용의 글도 있었다.

통상 장병들은 일과 시간이 끝나면 당직실 등에 보관돼 있던 자신의 휴대전화를 돌려받아 사용하고, 사용 시간이 종료되면 다시 반납한다. 하지만 재난 문자 설정을 변경하지 않은 일부 장병들이 몰래 휴대전화를 갖고 있다가 큰 소리의 경보음 때문에 발각됐다는 것이다.

앞서 군 당국은 2019년 장병들이 부대 내에서 일과 후에 휴대전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장병들을 독립된 인격체로 대우하고 사회와의 소통, 자기개발 기회 확대, 건전한 여가 선용 등을 장려한다”는 취지에서다. 2019년 시범 사업을 거쳐 2020년부터 모든 군부대 내에서 일과 후에 휴대전화를 사용할 수 있게 했다.


남윤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