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AI 악용 사이버 공격·랜섬웨어 고도화…내년 보안 위협 5대 키워드는

SK쉴더스, 2024 보안 대응 세미나

"AI 도입 확대…관련 사이버 공격↑"

"랜섬웨어 고도화…연쇄 공급망 공격 증가"

"클라우드 공격 늘어날것"





SK쉴더스는 내년 주요 보안위협 요소로 인공지능(AI)을 악용한 사이버 공격·랜섬웨어 공격 전략 등 5가지 키워드로 제시했다.



SK쉴더스는 5일 서울 광화문빌딩에서 ‘2024 주요 보안 위협과 대응 세미나’를 개최하고 “생성형 AI가 전 산업에 도입되며 AI의 적용 분야가 늘어나면서 AI를 활용한 지능화된 피싱 공격이 많아질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SK쉴더스는 내년 눈여겨 볼 보안위협 요소로 △인공지능을 악용한 사이버 공격 △제로데이를 악용한 랜섬웨어 공격 전략 고도화 △연쇄적인 공급망 공격 △다양한 형태의 자격 증명 탈취 증가 △클라우드 리소스 공격 타깃 등을 꼽았다.

SK쉴더스는 “제로데이를 악용한 랜섬웨어 공격 전략이 고도화될 것이며, 지난 3월 발생한 최초의 연쇄적인 공급망 공격에 이어 내년에도 관련 공격이 많아질 것"이라며 “N차 공격으로 연계가 되거나 주요 인프라를 노린 공급망 공격이 기승을 부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관리하는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서비스를 대상으로 한 공격도 많아질 것으로 분석했다. 다양한 형태의 자격 증명 권한과 인증정보가 다크웹에서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는만큼 기업의 접근 권한 관리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SK쉴더스는 설명했다.

관련기사



클라우드 리소스에 대한 공격 대비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SK쉴더스는 “AI 적용 분야가 많아지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이 많아지고 있어 이를 타깃한 공격도 많아질 것”이라고 했다.

SK쉴더스는 각 위협요소 별 맞춤형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지능화되는 AI 공격에 대비해 이메일 보안관제 서비스를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SK쉴더스는 “AI를 활용한 이메일 피싱 공격이 크게 늘고 있는 만큼 24시간 365일 악성메일 모니터링, 악성 공격 패턴 분석, 위협 정보 등을 제공 받을 수 있다”고 했다.

PC, 서버 등 엔드포인트에서 발생하는 보안 위협에 대한 선제적인 탐지와 대응을 제공하는 MDR 서비스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SK쉴더스는 “자사는 다양한 산업군별 최신 침해지표, 숙련된 관제 운영, 전문 인력을 바탕으로 MDR 서비스를 국내외 사업장에 제공하고 있다”고 했다.

이밖에도 모든 것을 신뢰하지 않는다는 ‘제로 트러스트’ 기반의 접근 통제를 구축하고 멀티 팩터(Multi Factor) 인증을 적용해야 한다고 SK쉴더스는 말했다. SK쉴더스는 “클라우드 리소스 보호를 위해 클라우드 액세스 관리 솔루션을 적용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했다.

현재 SK쉴더스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랜섬웨어 사고 접수, 대응, 복구, 대책 등 원스톱 솔루션을 제공하는 ‘KARA’(카라)를 운영하고 있다. 김병무 SK쉴더스 클라우드사업본부장은 “내년은 AI로 인한 보안 위협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때”라며 “AI 관련 보안 체계 구축과 대응전략을 고돠화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윤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