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이 ‘차세대 핵심·신흥기술 대화’를 열고 반도체, 양자, 바이오, 배터리·청정에너지, 인공지능(AI)·디지털 등 미래 첨단기술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특히 양국 정부가 설립 중인 반도체기술센터 간 협력 방안을 찾고 공동연구 지원 기회도 확대한다.
조태용 국가안보실장과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9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1차 차세대 핵심·신흥기술 대화’를 개최했다. 대통령실은 “양국의 동맹이 군사와 경제에 이어 기술까지 포괄하는 전략동맹으로 확대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조 실장은 이날 모두발언을 통해 “최근 복합위기 상황에서 지정학의 미래는 각국의 기술과 혁신에 달려 있다”며 “한국은 핵심 신흥기술 정책을 안보 정책의 중요한 한 축으로 삼아 법 제정, 범부처 기술유출 대응반 발족, 글로벌 공동연구 예산 확대 등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설리번 보좌관은 “양국이 동맹국으로 함께 공동연구 등 핵심 신흥기술 개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 나가길 희망한다”고 설명했다.
양국은 이번 회의를 통해 반도체 분야에서는 한국의 과기정통부와 미국의 과학재단 간 공동연구 지원 기회를 확대한다. 또 산업부와 상무부가 설립 추진 중인 반도체 기술센터의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바이오 분야에서는 과기정통부, 미국 국립과학재단 간 바이오경제 분야 연구협력을 위해 최소 1000만 달러를 지원하기로 했다.
의료·제약 부문에서는 기업 간 협력을 도모한다. 의약품 공급망 강화를 위해 양국 정부와 제약사가 함께하는 1.5트랙(반관반민) 형태 회의를 내년 미국에서 개최한다.
의사·과학자 교류, 연구중심 병원 협력에도 뜻을 같이했다. 우리 보건복지부와 미국 국립보건원(NIH)이 협력한다. 정부는 미국이 지난해 시도한 도전혁신형 연구개발 체계인 의료고등연구계획국(ARPA-H)과도 협력한다.
한국 과학기술정통부와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간 신규 공동연구를 추진한다. NSF가 바이오 제조를 주제로 한 공동 사업을 먼저 제안했고 한국이 이에 호응하면서 성사됐다.
배터리·청정에너지 분야에서는 차세대 배터리 개발을 위해 국책연구기관 간 연구개발을 확대한다. 또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과 미국 차량운송분야 산업협력연구센터(EVSTS) 간 양해각서(MOU)를 통한 공동연구 협력도 강화한다.
양자(퀀텀) 분야에서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 미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이 차세대 양자 컴퓨터 연구 증진을 위한 협력을 강화한다. 양국 산업계·대학 간 협력도 강화할 예정이다.
양국은 AI 국제 논의도 선도한다. 실무 차원의 워킹그룹을 구성한다. 국제표준 관련 공동연구, 정책 간 상호 호환성을 강화할 방침이다. 국제표준 선도 차원에서 양국 표준 연구기관 간 양해각서(MOU) 체결을 위한 기본 합의에도 도달했다.
미국은 우리가 내년 개최 예정인 ‘AI 안전성 정상회의’(AI Safety Summit), ‘AI의 책임 있는 군사적 이용에 관한 고위급회의’(REAIM) 등 AI 관련 주요 국제회의도 협력한다.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ESS) 공동연구, 우리 표준과학연구원과 미 상무부 산하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간 차세대 양자 슈퍼컴퓨팅 공동연구를 위한 협의에도 나선다.
이밖에 양측은 내년에 인도까지 포함해 한·미·인도 간 핵심·신흥기술 대화를 하는 방안도 구상 중이라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한미 차세대핵심 신흥기술대화’는 지난 4월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간 합의에 따른 후속 조치로, 첫 회의가 서울에서 개최됐다.